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확인방법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단체 바로가기
전체메뉴 열기
퀵메뉴

월간 국립극장

  • 소식 · 참여
  • 월간 국립극장

2025년 4월호 Vol. 417

목차 열기

비극으로 점철된 잔인한 아름다움

맺다 / 세계무대
스위스 제네바 대극장 <디도와 아이네이아스>
비극으로 점철된 잔인한 아름다움 

아름다운 자연과 더불어풍성한 문화예술로 세계인의 사랑을 받는  . 
수준 높은 공연으로 주목받는 네바 대극장은 스위스 남서쪽의  으로
형성된 스위스 로망드지방(프랑스어권)의 문화를 대표한다.


Switzerland Grand Théâtre de Genève <Dido and Aeneas>
A Cruel Beauty Dotted with Tragedies 

Geneva is a city loved by everyone in the world not only for its beautiful nature but also for its rich arts
and culture. In particular, the Grand Théâtre de Genève has drawn attention these days with high-quality performances. 
The theater represents the culture of Romandy, the French-speaking region of
Switzerland around Lake Geneva, in the country’s southwestern area.



ⓒFabien Bergerat


일명 GTG로 불리는 제네바 대극장은 1879년 건축가 자크-엘리제 고스가 만들었으며 1,521석에 이르는 웅장한 규모를 자랑한다. 제네바 대극장은 현재 합창단과 발레단을 소유하고 있어, 해마다 대규모 오페라와 발레 그리고 리사이틀과 실내악 레퍼토리 등을 선보이고 있다. 
이곳에서는 지난 2월 20일부터 26일까지 헨리 퍼셀의 오페라 <디도와 아이네이아스>를 선보였다. 이 공연은 프랑스의 ‘릴 오페라’, 룩셈부르크의 ‘테아트르 드 라 빌’과 공동 제작한 작품이다. 또한 지휘자 에마뉘엘 하임이 이끄는 프랑스의 바로크 앙상블 ‘르 콩세르 다스트레’와 안무가 프랑크 샤트리에가 주축인 벨기에 현대무용단 ‘피핑 톰’이 협력해 더욱 이목을 끌었다. 오페라·무용·연극을 혼합한 창의적 작품으로 언론과 청중이 찬사를 보낸 그 현장을 다녀왔다. 

극음악의 대가 헨리 퍼셀은 고대 시인 버질(기원전 70~19년)의 서사시 ‘아이네이스’를 바탕으로 나움 테이트가 쓴 대본을 가지고 이 3막의 오페라를 완성했다. 초연은 1689년 영국 첼시에서 열렸다. 
<디도와 아이네이아스>의 대략적인 내용은 이렇다. 트로이전쟁에서 패한 아이네이아스는 그의 아들과 생존한 트로이인들을 이끌고 방랑하던 중 카르타고에 닿는다. 카르타고에는 남편인 왕을 여의고 살아가는 여왕 디도가 있었다. 아이네이아스와 디도는 운명처럼 서로 사랑에 빠지지만, 두 사람을 방해하는 마녀의 계략과 아이네이아스가 가진 국가 재건이라는 사명으로 인해 끝내 헤어지게 된다. 카르타고를 떠나는 아이네이아스의 배를 보며 슬픔에 겨워하던 디도는 자신의 운명을 비관하며 스스로 삶을 마감한다. 이 비극적 이야기는 헨리 퍼셀뿐만 아니라, 엑토르 베를리오즈의 오페라 <트로이 사람들>이나 수많은 화가의 작품 주제로도 다뤄졌다. 
원래 퍼셀의 오페라는 50분 정도로 비교적 짧은 작품이다. 그러나 이번에 제네바 대극장에서 펼쳐진 오페라는 원작에 없는 이야기를 추가로 구성해 1시간 50분짜리 작품으로 만들었다. 이 두 번째 이야기는 안무가 프랑크 샤트리에와 피핑 톰 무용단이 구상했으며, 공연은 전부 영어로 진행되었다. 

Also known as GTG, the Grand Théâtre de Genève was built in 1879 by architect Jacques-Elysée Goss. It boasts its imposing size of 1,521 seats. The theater has its own chorus and ballet, sharing its repertoire of large-scale operas, ballets, recitals and chamber concerts year after year. From February 20 to 26, GTG presented Henry Purcell’s opera <Dido and Aeneas>, a co-production staged with France’s Opéra de Lille and Luxembourg’s Théâtres de la Ville. The opera made itself all the more noticeable due to its collaboration with le Concert d’Astrée (France’s Baroque ensemble led by conductor Emmanuelle Haim) and Peeping Tom (Belgium’s contemporary dance company led by choreographer Franck Chartier). This creative performance combines opera, dance and theater and it was acclaimed by the media and public. I was also there to enjoy the show.

Henry Purcell, a master of theater music, completed this three-act opera based on the Aeneid, an epic poem by ancient poet Virgile (70-19 BC), using a libretto written by Nahum Tate. The opera premiered in 1689 in Chelsea, London, England. 
Here is the synopsis of <Dido and Aeneas>. Defeated at the Trojan war, Aeneas wanders around with his son and surviving Trojans. He then reaches Carthago where he meets Dido, a queen who lost her husband the king. Aeneas and Dido fall in love as if by destiny. But a witch gets in the way of their relationship with her wicked scheme while Aeneas needs to accomplish his mission of rebuilding his country. So the man and woman end up separating. Gazing at Aeneas’s ship leaving Carthago in deep sorrow, Dido laments her fate and takes her own life. This tragic story became not only the theme of Henry Purcell’s opera but also that of Hector Berlioz’s opera <Les Troyens>. The story also inspired numerous painters.
Purcell’s original opera is quite short, which is about 50 minutes. But GTG’s newest version takes an hour and 50 minutes, adding something new to the original story. This additional part of the story was created by choreographer Franck Chartier and his dance company Peeping Tom. The entire performance is in English.



ⓒAurelien Bergot


여기 부와 권력을 쥐었으나 쓸쓸하게 살아가는 어느 나이 든 여자가 있다. 그의 유일한 즐거움은 성악가와 오케스트라를 집에 불러 <디도와 아이네이아스>를 듣는 것이다. 퍼셀의 오페라는 이 집에서 성악가들이 노래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서곡· 아리아·듀오·레시터티브 등 총 39곡이 퍼셀의 스코어에서 가져온 것이고, 여기에 13곡이 새로 추가되었다. 바로크 음악 앙상블 ‘르 콩세르 다스트레’의 첼리스트인 아추시 사카이가 작곡한 이 곡들은 퍼셀의 곡 사이사이에 삽입되어 기존의 음악과 묘한 조화를 이루었다. 
장소는 거대한 부잣집. 오른쪽에는 침실, 왼쪽으로는 소파가 놓인 살롱, 거실이다. 2층 난간에는 합창단이 자리 잡고 있다. 하얀 머리에 다소 피곤해 보이는 몰골의 여자가 침대에서 일어나며 말한다. “오늘은 디도(와 에네)를 좀 더 듣고 싶구나.” 시종들은 시트를 접고 침대를 정리한다. 여기서 등장하는 시종 6명은 모두 무용단원들로, 그중에는 한국인 무용수 정훈목도 있었다. 

There is an old woman. She has both riches and power but she is so lonely. Her only joy is to invite the singers and orchestra to her house and see them perform <Dido and Aeneas>. Purcell’s opera begins as the singers start singing in the house. A total of 39 numbers, which include the overture, aria, duo and recitative, came from Purcell’s original score while 13 numbers were added. Composed by Atsushi Sakai, cellist of the Baroque ensemble le Concert d’Astree, these new ones are inserted between Purcell’s pieces, reaching subtle harmony with the original music.
On stage, you see a large, luxurious house. On the right, there is a bedroom and on the left, a living room with a couch. You also see a chorus behind the handrail on the second floor. A gray-haired woman appears. She looks a little tired. She gets up from her bed and says, “I want to hear more of Dido (and Aeneas).” Attendants make the bed. All the six attendants are members of the dance company and Korean dancer Jung Hun-Mok is one of them. 





시종 마리는 주인이 입을 일주일치 옷을 준비해 꺼내 보이지만 전부 검은색이다. 마치 슬픔으로 가득 찬 과부의 삶을 대변하듯이. 침대 위에 걸린 남편의 초상을 바라보며 한탄하는 장면은 사랑에 목마른 여인의 일면을 보여 준다. 또한 이뤄질 수 없는 사랑을 갈구하는 인물로도 비친다. 사실 그는 아이네이아스처럼 아들과 함께 이 집에 들어온 한 남자 시종을 몰래 마음에 두고 있다. 내면에서 복잡한 고민을 하던 끝에 그는 여자 시종 마리를 끌어들여 자신이 좋아하는 남자 시종과 이어 주기로 결심한다. 마치 디도처럼 사랑을 포기하는 것이다. 
성악가들이 도착해 우아하게 거실에 자리를 잡는다. 한 시종이 무용처럼 기우뚱한 자세로 차를 따르는데, 잔에 흘러넘칠 때까지도 계속 차를 따른다. 이윽고 집 안에는 모래 자갈이 조금씩 쌓이기 시작한다. 폭풍으로 인해 집 안까지 모래가 밀려 들어온 것이다. 그 가운데서도 우아하게 커피를 마시던 아이네이아스 앞에서 두 남녀 무용수는 농염한 탱고를 춘다. 또 다른 장면에서는 작곡가 사카이가 직접 첼로를 들고 무대로 올라와 연주하기 시작한다. 이때 한 여자 시종이 나타나, 첼로와 사카이에게 온통 흰 거품을 묻힌다. 이는 마치 피나 바우슈의 ‘탄츠테아터’를 떠오르게 하는 대목이었다.
마지막 장면 또한 인상적이었다. 오페라에서는 거친 폭풍이 카르타고를 떠나는 아이네이아스의 함대를 방해한다면, 무대에서는 자갈과 모래가 벽과 창문을 거칠게 뚫고 들어온다. 무대 뒤 커튼이 올라가고, 뿌연 공기를 비추는 조명 아래로 나체의 남자가 사람들 사이를 뚫고 들어온다. 그는 여자가 사랑했던 남자 시종으로, 모래바람이 지나간 사이에 아들을 잃었다. “내 아들은 어디에!”라며 울부짖는 남자. 그 절규하는 모습에는 늙은 여자와 스스로 죽음을 택한 디도의 모습이 겹치는 듯했다.

An attendant called Marie prepares and shows the outfits that the lady will be wearing for a week. All of them are black, as if symbolizing a widow’s life full of sorrow. The woman sighs as she looks at the portrait of her late husband hung above the bed. This shows how a woman thirsts for love. She is also seen as someone longing for a love that can never be. Indeed, she secretly loves a male attendant who came to her house with her son, just like Aeneas. After having a lot on her mind, she decides to set her female attendant Marie up with the male attendant she loves. That is, she gives up on her love like Dido.
The singers arrive. Gracefully, they find their seats in the living room. An attendant pours tea into the cup, in a tilted, dance-like posture. The attendant keeps pouring the tea even until the cup overflows. Soon afterward, sand and gravel come into the house little by little, because of a storm. Even amid all this, Aeneas drinks coffee elegantly. And in front of him, two dancers, a man and woman, dance the tango in a sultry vibe. In another scene, composer Sakai appears on stage with his cello and performs. At that time, a female attendant comes in and covers Sakai and his cello with white bubbles. This scene is reminiscent of Pina Bausch’s Tanztheater.
The last scene was also impressive. In the opera, a raging storm keeps Aeneas’s fleet from leaving Carthago. On stage, sand and gravel break through the walls and windows. The upstage curtain goes up and the light makes fogginess visible. Under the light, a naked man forces his way through the people. He is the male attendant the lady loved. While a sand wind was blowing, he lost his son. The man cries out, “Where is my son!” Such an image of the crying man seems to overlap with that of the old lady and Dido who chooses to die.




프랑크 샤트리에는 처음부터 끝까지 예측 불가능한 발상으로 청중을 압도했다. 물론 성악진의 출중한 퍼포먼스와 퍼셀의 음악적 섬세함과 서정성을 예리하게 표현해 낸 에마뉘엘 하임을 비롯한 앙상블도 갈채를 받아 마땅했다. 피핑 톰 무용단의 뛰어난 테크닉과 예술적 기량에 놀란 것은 말할 것도 없었다. 비참함을 이토록 아름답게 무대에 올리는 비극이 또 어디 있을까.

Throughout the performance, Franck Chartier overwhelmed the audience with his unpredictability. Of course, the singers’ outstanding performance and Emmanuelle Haim’s ensemble meticulously expressing Purcell’s musical subtlety and lyrical esthetics were also worthy of praise. And needless to say, I was amazed by Peeping Tom’s extraordinary techniques and artistic skillfulness. Where else could I find this tragedy of staging misery in such a beautiful way? 


글. 배윤미  프랑스 현지에서 월간 『객석』 파리 통신원이자 자유기고가로 활동하고 있다.  
사진. Magali Dougados, Carole Parodi

By Yun-mi Bae  Based in France, Yun-mi Bae is a Paris correspondent of the monthly magazine Auditorium. She also works as a freelance writer.
Photo by. Magali Dougados, Carole Parodi
메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