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확인방법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단체 바로가기
전체메뉴 열기
퀵메뉴

캘린더

  • 공연
  • 공연안내
  • 캘린더
2025-2026 국립극장 레퍼토리시즌
[2025 SPAF] <룸 위드 어 뷰>

  • 기간2025-10-17 ~ 2025-10-18
  • 장소해오름극장
  • 장르무용
  • 관람시간80분
  • 관람연령16세 이상 (2009년 12월 31일 이전)
  • 주최(재)예술경영지원센터, 국립극장
  • 시간금 19:30 토 15:00
  • 티켓오픈2025.7.15.(화) 14:00 패키지 티켓 오픈 / 2025.7.18.(금) 14:00 일반 티켓 오픈
  • 문의02-2098-2983
  • 소득공제신용·직불카드 결제 / 현금영수증 신청시 가능
  • 티켓가격
    • R 65,000원, S 50,000원, A 30,000원
달력 테이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예매가능 잔여좌석

예매하기

알립니다!

※ 본 공연은 16세 이상 (2009년 12월 31일 이전) 관람 가능합니다.
관람 연령 확인을 위해 생년월일이 기재된 증빙서류를 요청할 수 있으니 반드시 지참하시기 바라며,
관람 연령 미숙지로 인해 공연 당일 관람이 불가하거나 관람을 포기한 경우 취소, 환불, 변경은 불가합니다.
----------
※ 본 공연은 흡연 장면, 전신 누드장면, 일부 폭력적인 장면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관람에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공연소개

[2025 서울국제공연예술제(SPAF) 개막작]


전자음악과 현대무용이 그려내는 붕괴 이후의 세계와 아름다운 저항의 몸짓

2020년 프랑스 파리 샤틀레 극장(Theatre du Chatelet)에서 음악가 '론(Rone)'과 함께 선보인 <룸 위드 어 뷰(Room With A View)>는 '(라)오흐드((LA)HORDE)'가 12개국 출신 23명의 무용수로 구성된 '마르세유 국립발레단(Ballet National de Marseille)'과 협업한 첫 작품이다.


화이트 큐브로 구성된 무대 공간. 백지처럼 열려있는 하얀 무대는 기계들이 암석을 절단하고 연마하는 대리석 채석장을 연상시킨다. 이 초현실적인 공간 한켠에서 '론'은 전자 기계를 사용해 일렉트로닉하면서도 감정적인 사운드스케이프(soundscape)를 조각하며, 우리를 인류 너머 세계에 존재하는 구원의 길로 안내한다.


"대리석 안에 갇힌 인간을 자유롭게 하라(free the human form inside the block)"는 미켈란젤로의 참처럼, 무용수들은 움직이지 않는 백색의 정적인 공간에서 벗어나고자 해방의 춤을 펼친다. 이들은 레이브 파티와 시위에서 영감을 받은 혼란스러운 움직임을 통해 앞으로 다가올 재앙 속 인간의 역할을 탐색한다. 그들은 세계의 무한한 폭력에 압도당한 채 고통을 반복하고 몸으로 재현함으로써 이를 몰아내려 한다.

작품은 재앙의 실체를 마주하며 몸을 통해 질문을 던지고 파괴적인 시대에도 여전히 아름다움이 존재한다는 희망의 가능성을 상상한다.


<룸 위드 어 뷰>는 저항, 봉기, 반란의 다양한 형식을 탐색하며 오늘날 세대의 고통과 정당한 분노를 이야기한다. 작품은 혼돈 속에서도 역설적인 아름다움, 그리고 무너짐 속에서 솟아오르는 구원의 에너지와 집단의 힘을 강하게 드러낸다.


줄거리

채석장에서 기계들은 바위를 자르고 윤을 내며 분주하다. 초자연적인 공간과 기계 뒤에서 론은 난봉꾼들을 위해 거대한 전자음악과 감정적인 풍경을 조각한다. 조각가들이 인간을 블록 안으로부터 해방하기 위한 작업을 하면, 무용수들은 돌의 하얀 부동성에서 탈출하기 위해 춤을 춘다. 샤틀레 극장의 초청을 받은 론은 마르세유 국립발레단을 이끄는 (라)오흐드와 협업해 춤을 위한 봉기, 시위, 반란의 형태를 탐구한다. 작품에서는 기계들이 울부짖는 소리가 공명하며, 새로운 탈출을 시도하고 인류 너머 존재하는 노래를 항한 비행의 선을 그린다.


출연 및 제작진 소개

(라)오흐드 (LA)HORDE

(라)오흐드((LA)HORDE)는 2013년 '마린 브뤼티(Marine Brutti), ' 조나탕 드브루웨(Jonathan Debrouwer)', '아르튀르 아렐(Arthur Harel)' 세 명의 예술가가 함께 구성한 콜렉티브로, 2019년부터 '마르세유 국립발레단(CCN Ballet national de Marseille)'의 공동 예술감독을 맡고 있다.


이들은 신체 움직임을 통한 다양한 퍼포먼스, 영상, 공연 등의 분야에서 예술 활동을 펼치고 있다. <노바시에리(Novacieries)>(2015), <클라우드 체이서스(Cloud Chasers)>(2016), <(더 마스터스 툴스)The Master's Tools>(2017), <(퀄트)Cultes>(2019), <(룸 위드 어 뷰)Room With A View>(2020), <(고스트)Ghosts>(2021) 등의 영화 및 퍼포머스 작업과, <(나이트 아울)Night Owl>(2016), <(투 다 본)To Da Bone>(2017), <(메리 미 인 바시아니)Mamy Me in Bassiani>(2019), <(룸 위드 어 뷰)Room With A View>(2020) 등의 안무 작품을 통해 춤의 정치적 잠재력을 탐구하고, 대중 혹은 고립된 저항의 형태를 몸의 언어로 그려오고 있다.


(라)오흐드는 온라인에서 발전한 신체와 춤의 유통 및 재현 방식을 탐구해 '포스트 인터넷 댄스(post-interet dances)'라는 개념을 만들어냈다. 이들은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 디지털 환경이 제공하는 무한한 세렌디피티(serendipity)-즉 예기치 않은 창조적 발견의 가능성-를 시험하며, 함께 작업하는 커뮤니티가 품고 있는 저항의 서사를 다각도로 조명한다. 이러한 협업은 수직적 위계가 아닌 수평적(heterarchical) 구조 속에서 이루어진다.


(라)오흐드는 노인, 시각장애인, 흡연자, 청소년 등 주변부에 있는 다양한 이들과 손잡고 예술을 통한 연대를 실천하고 있다. 이들은 미국 출신의 포스트모던 무용가 겸 안무가 '루신다 차일즈(Lucinda Childs'), 포르투갈 안무가 '타니아 카르발류(Tania Carvalho)', 프랑스 퀴어 댄서 '라상드라 닌자(Lasseindra Ninja), 북아일랜드 무용·연극 안무가 '우나 도허티(Oona Doherty)' 등을 초청해 각기 다른 고유의 스타일과 포용성, 사회적 참여성을 담은 안무가 어우러진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2022년에는 초현실주의와 미니멀리즘을 연결하는 6편의 짧은 작품들로 구성된 프로그램 <룸메이트(Roommates)>를 발표했다.

해당 프로그램은 '루신다 차일즈(Lucinda Childs')', '를로드 브뤼마숑(Claude Brumachon)'과 '벵자맹 라마르슈(Benjamin Lamarche)', '피핑 톰(Peeping Tom)', '세실리아 벵골레아(Cecilia Bengolea)'와 '프랑수아 셰냐(Francois Chaignaud)', (라)오흐드의 작품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뮤지컬과 액션 영화 장르를 실험적인 안무와 결합한 대규모 춤 전시 <우리는 결코 달 위를 걸어서는 안 됐다(We Should Have Never Walked on the Moon)>을 선보였다.

할인안내



■ 조기예매 할인 (30%)

· 할인대상: 조기예매 기간 (25.7.18~8.3.) 구매자(1인 4매)

· 해당기간 종료 후 할인 적용 불가


■ 엔톡(NTOK)회원 (10%)

· 국립극장 무료회원(1인 4매)

· 국립극장 홈페이지 무료회원


■ 문화릴레이(티켓) (20%)

· <문화릴레이(티켓)> 20개 참여기관의 2024년 1월 이후 유료 공연 관람자(1인 2매)

· 증빙방법 아래 3가지 중 택 1

① 참여공연장(국립극장 포함) 2024년 1월 이후 유료 관람 실물 티켓 제시

② 문화포털 로그인 후, 문화릴레이티켓 - 오늘의 공연 페이지 제시

    *비회원의 관람인증 페이지 제시는 증빙 불가

③ 본인 확인이 가능한 티켓 예매처의 모바일(온라인) 예매내역 제시

    *단순 캡처 이미지, 취소된 예매내역, 양도 티켓은 적용 불가


■ 임산부 (20%)

· 임산부(본인만)

· 산모수첩 혹은 핑크뱃지 현장 확인

※ 미지참시 현장 차액지불


■ 다둥이카드 (20%)

· 다둥이카드 소지자 및 가족 구성원(다둥이 카드 내 가족 구성원 표기 인원수)

· 다둥이카드 내 가족 구성원 성명 기입 또는 가족관계증명서 현장 확인

※ 미지참시 현장 차액지불


■ SPAFolic (20%)

· SPAF 2001~2025 유료티켓 소지자. 

· 티켓 1장당, 1개의 작품만 할인 적용.

· 적용된 티켓은 도장 날인 후 재사용 불가 


■ 외국인 (20%)

· 티켓 수령 시 유효기간 내 여권, 외국인 등록증, 해외(국제)학생증, 

  영주권카드(그린카드), 국제운전면허증, 주한미군 군인 신분증 확인 (1인 2매) 


■ 문화패스(청소년 등) (30%)

· 2000년생 이후 출생자 혹은 대학생(본인만)

· 생년월일이 기재된 신분증, 의료보험증 등 각종 서류 또는 대학교 학생증 지참

  *대학원생 불가

※ 미지참시 현장 차액지불


■ 예술인 (30%)

· 예술인패스 및 문화예술 종사자 증빙자료 필참(참여공연 프로그램, 브로셔, 명함, 서울아트마켓 참가자 비표 등)

※ 미지참시 현장 차액지불


■ SPAFriends (35%)

· 동일 회차, 동일 등급 3인 이상 동반 예매시 적용 (1인 3매 이상)


■ 서울청년문화패스 (40%)

· 서울청년문화패스 웹사이트를 통한 예매 시에만 가능 (본인만)

· 서울청년문화패스 실물카드 및 신분증 지참시

  *서울청년패스 웹사이트 단독 판매


■ 경로 (50%)

· 1960년 이전 출생자(본인만)

· 신분증 현장 확인

※ 미지참시 현장 차액지불


■ 국가유공자 (50%)

· 국가보훈등록증 소지자(1인2매)

· 보훈보상대상자

  - 유공자증, 국가유공자 유족증, 국가보훈등록증 현장 확인

※ 미지참시 현장 차액지불


■ 장애인 (50%)

· 복지카드 소지자(1인 2매)

· 복지카드 현장 확인

  *휠체어석 문의 02-2280-4114

※ 미지참시 현장 차액지불


■ 문화누리 (50%)

· 문화누리카드 소지자(본인만)

· 문화누리카드 현장 확인

  *본인명의 표기 필수

※ 미지참시 현장 차액지불


■ 단체

· 10인 이상 단체 문의 예술경영지원센터 (02-708-2283)




협력기관 소개

댄스 리플렉션 by 반클리프 아펠

반클리프 아펠과 무용 예술의 끈끈한 유대 관계는 1920년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이 관계는, 2020년 현대 무용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인 반클리프 아펠의 댄스 리플렉션이 탄생하면서 더욱 견고해 졌습니다. 전 세계 파트너들과의 협력으로 진행되는 이 프로젝트는 안무의 유산을 지원하고, 현대 창작을 육성하며 이러한 예술적 세계를 최대한 많은 이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종의 헌신을 반영합니다.


반클리프 아펠의 댄스 리플렉션과 서울국제공연예술제가 무용 축제를 선보입니다.


2025년 10월 16일부터 11월 9일까지, 서울 곳곳에서 다양한 글로벌 무용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2020년 출범 이후 댄스 리플렉션을 이끌어 온 창작, 전승, 교육이라는 가치를 반영한 이번 페스티벌은 현대 무용의 역사에 한 획을 그은 작품과 최근 작품들을 함께 선보입니다. 이외에도 전문 및 아마추어 무용가 모두를 위한 워크샵과 마스터클래스의 기회도 제공합니다.


메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