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극장(극장장 박인건) 전속단체 국립창극단(예술감독 겸 단장 유은선)은 창극콘서트 <토선생, 용궁가다>를 9월 25일(목)부터 9월 26일(금) 양일간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공연한다. 국립창극단이 선보이는 새로운 형식의 창극 콘서트로, 판소리 ‘수궁가’ 원전을 짜임새 입게 압축해 우리 소리를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도록 마련한 공연이다. 올해는 2025 국립창극단 청년교육단원들을 주축으로 구성해 젊은 활기를 더했다.
창극콘서트 <토선생, 용궁가다>는 판소리 다섯 바탕 중 ‘수궁가’를 각색한 작품이다. 네 시간가량 소요되는 원전 분량을 70여 분으로 압축하고, 다양한 음악적 구성을 추가해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는 신개념 창극콘서트로 재탄생시켰다. 병든 용왕을 위해 토끼의 간을 구하러 세상에 나온 자라가 토끼를 용궁으로 유인했으나 토끼가 재치를 발휘해 위기를 극복하는 내용을 해학과 풍자로 유쾌하게 풀어냈다.
작품의 연출과 극본은 국립창극단 예술감독 겸 단장 유은선이 맡아 원전의 해학과 풍자를 현대적으로 재구성했다. 음악은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귀토><리어><보허자(步虛子): 허공을 걷는 자> 등 국립창극단의 다양한 레퍼토리를 통해 탄탄한 소리와 짜임새를 보여준 한승석이 작창으로 참여했다.
<토선생, 용궁가다>는 창극 콘서트라는 이름에 걸맞게 판소리와 민요를 아우르는, 풍성한 우리 음악의 향연을 선사한다. ‘상좌다툼’ ‘좌우나졸’ ‘범 내려온다’ ‘토끼화상’ ‘토끼팔란’ 등 판소리 ‘수궁가’의 주요 눈대목을 모두 만날 수 있다. 소리꾼의 독창뿐만 아니라 합창, 장단에 맞춰 서로 가사를 주고받는 입체창 등 익숙한 대목도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해 새로운 매력을 더했다. 판소리 외에도 남도민요 ‘새타령’, 경기민요 ‘뱃노래’, ‘자진뱃노래’, 신민요 ‘동해바다’ 등 친숙한 지역 민요까지 포함한 다채로운 우리 음악을 선보인다.
<토선생, 용궁가다>는 지난 2024년부터 다양한 문화 지원 사업을 통해 전국 각지 관객들을 만났다. ‘2024-2025 국립극장 지역 문화거점 공연’ 사업으로 경기도 김포·음성·용인·경남 의령군 등에서 공연했고 올해 4월 ‘2025 문화가 있는 날-구석구석 문화배달’ 사업의 일환으로 제주도를 찾았다. 지금까지 총 6회의 공연으로 지역 관객에게 검증된 재미를 선사하며 큰 호응을 얻었다.
이번 무대는 무엇보다 2025년 국립창극단 청년교육단원이 주축이 되는 공연이다. ‘청년교육단원’은 차세대 K-컬쳐 주자를 발굴하기 위해 실력 있는 청년예술가를 선발, 국립예술단체 단원과 함께 전문적인 공연 제작 참여할 수 있게 하는 사업이다.
이번 <토선생, 용궁가다>는 토끼 역 김유진, 자라 역 송자연, 용왕 역 강나현 등 주요 배역까지 모두 청년교육단원이 맡아 그동안 쌓은 내공과 실력을 아낌없이 선보일 예정이다. 이 외에도 다양한 역할로 출연하는 젊은 소리꾼들의 활기찬 노래와 생동감 넘치는 안무, 신명 나는 연주와 어우러져 더욱 풍성하고 생동감 넘치는 공연을 완성한다. 전석 2만원. 예매·문의 국립극장 홈페이지(www.ntok.go.kr) 또는 전화(02-2280-4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