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빠른예매 바로가기 사이트 지도 바로가기
월간미르 상세

2019년 06월호 Vol.353

국립극장 소극장 개관 기념공연·궁정에서의 살인

두고두고 회자되는 공연 기록

 국립극장 소극장 개관 기념공연·궁정에서의 살인
1974년 3월 1~5일

 

1973년은 국립극장뿐만 아니라 한국 공연계에 역사적인 해로 손꼽힌다. 일본이 지은 건물들을 전전하던 20여 년의 세월을 지나 남산 아래 우리 손으로 지은 공연장이 자리 잡게 됐기 때문이다. 유례없는 규모라는 수식은 대극장을 필두로 소극장까지 갖추었기에 더없이 어울린다고 할 만했다. 설계자 고(故) 이희태는 “대극장(현 해오름극장)에서는 연극·오페라·발레·교향악 등을 공연하고, 소극장(현 달오름극장)에서는 국악 연주(한국 고전파 소음악회)를 주로 하는 것으로 그 성격을 규정지었다”라고 각 극장의 용도를 설명하기도 했다.

 

화려한 수식에 걸맞게 개관에 대한 대중의 관심과 열기는 1년이 지나도록 끊이지 않았고, 국립극장의 남산 이전이 한국 공연예술의 포괄적이고 심도 있는 발전을 위함이라는 사실은 ‘국립극장 소극장 개관 기념공연’에서 여실히 드러난다. 공연 시기를 1974년 3월 초로 정하고 ‘3.1절 경축’이라는 부제를 붙인 점에서부터 전통문화를 지키겠다는 포부가 선명하다. 공연은 무려 5일 동안 이어졌으며, 국립국악원의 아악부터 국립창극단의 판소리, 한국민요연구회의 민요, 국립무용단의 무용 등 다채로운 무대가 구성됐다. 특히 기존에는 주로 민간 단체에서 공연하던 탈춤·남사당 등의 민속 예술도 포함돼 국립극장의 남다른 지향점을 보여주기도 했다. 국민들도 이 같은 노력에 호응해 신축 극장의 로비는 관객들로 북적였다.

  

공연예술박물관 소장 자료를 통해 얼마나 공연에 심혈을 기울였는지 생생히 확인해볼 수 있다. 1974년이기에 영상 기록은 불가능했으나 대신 풍부한 녹음 자료와 사진, 포스터와 안내 책자에 당시 공연의 이모저모를 담았다. 검은 바탕 위에 국악기가 어우러진 구성의 안내 책자는 표지 디자인이 고졸하면서도 세련된 맛이 있으며, 안에는 당시 공연 순서와 예술인들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담고 있어 녹음 자료와 함께 감상할 만하다.

 


 

한편 동일한 기간, 국립극장이 떠나온 명동예술극장에서는 ‘궁정에서의 살인’이라는 연극을 상연하고 있었다. ‘초당’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작가 강용흘이 쓴 영문 극본을 이근삼이 한국어로 번역하고 민예극단이 제2회 공연으로 무대에 올린 작품이다. 고려 공민왕 시대가 배경인 대하 서사극이면서도 당시 한국 젊은이를 닮은 두 남녀 주인공의 현대적인 성격이 특징이다.


갈색 표지와 흑백 내지로 구성된 안내 책자에는 이처럼 고전 비극과 현대성의 결합에 대한 이근삼의 생각이 담겨 있다.
“주인공 만송과 혜라녀는 어느 면 오늘날의 한국의 젊은이와 흡사하다. 그는 사실주의적인 현대극보다는 고전적 희곡으로 가다듬으려고 했다. 독백이 자주 나오며 우연도 돌발한다. 궁정을 중심으로 한 인물들, 신돈을 중심한 악의 상징, 그리고 젊은 주인공들의 맑은 세계를 교차시키면서 우선 재미있게 끌고 간다.”


‘궁정에서의 살인’의 또 다른 특징이라면 강한 시정(詩情)이다. 이근삼은 한국어로 옮기는 과정에서 운율을 살리지 못했다고 위 글에 적었으나, 실제 대본을 읽어보면 그 말이 겸손임을 알 수 있다. 셰익스피어를 연상했다는 대목에서 예상되듯 대사 곳곳에서 리듬감이 묻어난다. 그의 완성도 높은 번역 및 원작에 충실하기 위해 허규 연출은 김민기와 김영동에게 음악을, 정병호에게 안무를, 곡예사 방철민에게 묘기를 맡기며 극의 묘미를 살리기 위해 열성을 다했다.

이렇듯 국립극장은 1973년에 남산으로 터전을 옮겼으나, 신구(新舊) 공연장 모두에서 전통을 계승한 창작의 열정이 이어졌음을 알 수 있다. 1975년 매각돼 문화계에 큰 아쉬움을 남긴 명동예술극장은 2009년에 재개관해 연극의 명맥을 재계승하고 있으며, 1973년 개관 이래 국립극장은 쉬지 않고 전통에 기반한 공연예술을 무대에 올리고 있다. 그리고 공연예술박물관은 난관 속에서도 면면히 이어지는 예술혼을 다양한 방식으로 기억함으로써 그 유대가 미래로 한층 튼튼하게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이주현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 학예연구사

 

참고

유민영, ‘환갑 맞은 국립극장, 되돌아보다’(국립극장, ‘국립극장 60년사’), 2010.
국립극장, ‘국립극장 소극장 개관 기념공연’ 안내 책자, 1974.
국립극장, ‘궁전에서의 살인’ 안내 책자, 1974.
작자 미상, ‘민예극장, 강용흘 작 「궁정에서의 살인」 공연’, 1974년 02월 23일자, 동아일보.

 

3.1절 경축 국립극장 소극장 개관 기념공연 | 궁정에서의 살인
일자     1974년 3월 1~5일
장소     국립극장 소극장 | 명동예술극장
출연     국립국악원·국립무용단·국립창극단·김흥기·박규채·오승명·정영숙·최불암·한국민요연구회 외

 

공연예술자료 이용안내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은 약 21만 점의 공연예술 자료를 보존하고 있다. 공연예술 디지털아카이브 홈페이지(archive.ntok.go.kr)에서 누구나 쉽게 자료 검색 및 열람이 가능하며 박물관을 직접 방문하면 더 많은 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
문의 공연예술자료실(방문 이용) 02-2280-5834 공연예술디지털아카이브(온라인) 02-2280-5805

사이트 지도

사이트 지도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