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예술감독 겸 단장 ㅣ 김종덕 (재임기간 : 2023.04.12 ~ )
1988 경성대학교 무용과 학사
1966 부산대학교 체육학 석사
2006 한양대학교 무용학 박사
2003~2015 한국예술종합학교 강사 및 겸임교수
2014~2016 천안시립무용단 상임안무자
2018~2019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운영자문위원
2018~2020 대한무용협회 전국무용제 예술감독
2019~2022 세종대학교 초빙교수
-
상훈
-
1999 제1회 전국차세대 안무가전 최우수상
2011 대한민국무용대상 솔로&듀엣 Best 5 선정
2012 서울문화투데이 문화대상 무용 부문 최우수상
2013 무용문화포럼이 선정한 연기상 수상
2018 한국무용협회 예술대상 공로상
2018 제13회 아시아문예대상 국회문화체육위원장상
2022 제16회 한국전통문화콘텐츠 무용콘텐츠 부문 대상
역대단체장
-
-
송범 (재임기간 : 1973.05.01 ~ 1992.12.31)
-
1945. 양정중학교 졸업
1961. 한국무용협회 이사장
1962. 한국예술문화단체 총연합회 이사
1972.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교수
1973. 국립무용단 단장
1974. 한국무용협회 상임고문
1979. 대한민국 무용제 운영위원
1983.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1992. 중앙대 예술대 무용과 명예교수
1998. 무용원로원 원장
-
상훈
-
서울시 문화상(68),대통령표창(72),국민훈장 동백장(73), 대한민국 문화예술상(73),무용공로상(82)/대한민국에술원상(84)
-
주요작품 및 예술활동
-
<안무>영은 살아있다(62), 별의전설(73), 왕자호동(74), 꿈꿈꿈(79), 푸른천지(80), 썰물(81), 도미부인(84), 은하수(86), 그하늘 그 북소리(90), 황혼의 노래(95), 오셀로(96)
-
해외공연
-
멕시코올림픽 한국민속예술단 참가(68), 일본공연(69), 뮌헨올림픽 한국민족 예술단 참가(72), 미국독립 200주년 기념공연(76), 유럽순회공연 참가 및 안무(80), 미국.캐나다 순회공연(82), LA올림픽 문화행사공연(84)
-
-
조흥동 (재임기간 : 1993.01.02 ~ 1994.12.31)
-
경동고등학교 졸업
1965. 중앙대 법대 졸업
1962. 국립무용단 공연 출연
1965. 무용학원 설립
1968. 무용발표회 개최
1983. 국립무용단 지도위원
1985. 한국무용협회 부이사장
1992. '92춤의해' 운영위원장
1993. 국립무용단장 겸 예술감독
1997 ~ 1998. 서울예술단 예술감독
1998.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 부회장 국립무용단 상임안무가
1991. 한국무용협회 이사장
1999. 경희대 무용학과 겸임교수
-
상훈
-
서울시 문화상,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
주요작품 및 예술활동
-
<안무>제신의 고향, 맥
1988. 서울올림픽개막제 '길놀이' 안무,
1978. 건국30주년기념공연 '탑교놀이' 안무
1986. 창작무용극 '대' 발표
1982. 한국남성무용단 창단기념공연 '소품집'
-
-
최현 (재임기간 : 1995.01.01 ~ 1995.09.05)
-
1999. 서울예술단 정기공연 "헌화가" 안무 및 출연 (토월극장)
1999. 운현궁 일요예술무대 최현의 춤 예술안무 (운현궁 노락당)
1999. 서울예술단 지방순회공연 "헌화가" 안무 및 출연 (통영 충무 문화회관)
1999. 서울예술단 지방순회공연 "헌화가" 안무 및 출연 (군산문화회관)
2000. 김해랑선생 추모공연 추진 총감독 및 출연
2000. 인천 세계춤 축전 명인전 출연 (비상)
2000. 최현춤전 2000 (국립극장)
2000. 서울특별시 문화상 수상 (공연부문)
2000. LG Art Center 일주년 기념 공연 출연 (신명)
2001. '우리춤, 어제와 오늘의 대화' 출연 '신명' (정동극장)
2001. 최현춤전「비파연」(호암아트홀)
-
상훈
-
1990. 대통령표창 수상 (서울올림필 안무총괄 공로)
1993. 무용예술지 1993년도 무용작품 "군자무" 대상 수상
1994. 대한민국 문화 훈장(화관) 서훈
1996. 대한민국 예술대상 수상 (연극,영화, 무용부문)
2000. 서울특별시 문화상 수상 (공연부문)
-
-
국수호 (재임기간 : 1996.01.01 ~ 1999.10.08)
-
1969. 서라벌예술대학 무용과 졸업
1975. 중앙대 연극영화과 졸업
1977. 동 대학원 졸업
1965. 박금술.송범 선생께 한국무용 사사
1973. 국립무용단 입단
1985. 중앙대 예술대 무용학과 교수
1988. 한국평론가협의회서 88최우수예술가로 선정
-
상훈
-
대통령상
-
주요작품 및 예술활동
-
1974. 무용극 '왕자호동' 등 출연
1984. 무용극 '무녀도'
1987. 무용극 '대지의 춤 안무
1988. 88서울예술단 예술총감독
1990. '백두산신곡' 안무
1993. 러시아 볼쇼이 오페라극장 공연
1994. 동양3국의 '북춤' 안무
1995. '명성황후' 안무
1994. 한국미래춤학 회 부회장
-
-
배정혜 (재임기간 : 2000.01.01 ~ 2002.12.31)
-
1966. 중앙 여고 졸업
1970. 숙명여자대학교 국문학과 졸업
1974.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체육과(무용전공) 졸업
1966. 중앙여고 무용강사
1974 ~1989. 선화예술학교 무용부장 역임
1986 ~1989. 국악원 상임안무자
1989 ~1998. 시립무용단 단장
2000 ~ 2002. 국립무용단 단장
2006 ~ 2011. 국립무용단 단장
-
상훈
-
1970. 최우수예술가상 수상 무용부문- 불의 여행 자랑스런 서울시민 600인상 7인의 평론가가 뽑은 우수 무용걸작선 - 두레 선정 1996. 문학의 해 기념 문인협회 가장 문학적인 무용가상
-
주요작품 및 예술활동
-
타고남은 재(77), 정심(正心)(78), 수평선(79), 대화(84), 이 땅의 들꽃으로 살아(85), 강남 제비(86), 유리도시(87), 우륵의 얘기/당신의 얼(88), 불의 여행(90), 떠도는 혼(99), 두레 (93), 서울까치(95), 시집가는 날(96), 하얀 강(97), 천만인의 소리(98), 영혼의 춤(99), 신라의 빛(2000), 춘향전-춘당춘색고금동(01), 코리아환타지(01), 춤 춘향(02), 춘향전(03), 법 타고 남은 재 2(04), APEC 정상회담 개회식 행사 총 안무(05), Soul 해바라기(06), 프린세스 콩쥐(11)
-
-
김현자 (재임기간 : 2003.01.01 ~ 2005.12.31)
-
1970. 이화여자대학교 무용과 졸업
1982. 동아대학교 대학원 졸업
1994. 한양대학교 대학원 졸업
1983 ~ 1997. 국립 부산대학교 예술대학 무용과 교수
1985. 한국창작무용단 상임안무자 (럭키창작무용단으로 후일 개칭)
1997 ~ 국립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교수
2003 ~ 2005. 국립무용단 단장
-
상훈
-
1969.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신인상 수상
1986. 제10회 아시안 게임 개막식 안무 - 체육부 장관 표창
1997. 무용예술상 <무용연기상> 수상
2003. 춤비평가상 수상 ‘올해의 안무가상’ 수상
2005. 무용대상 예술상 (한국무용협회)
2006. 외교통상부 장관 표창 (외교통상부 국무총리상)
2011. 보관문화훈장 (문화체육관광부 대통령상)
-
주요작품 및 예술활동
-
<안무>‘심청’ (75), ‘보리피리’ (81), '홰' (84), '황금가지' (86), '生춤'(89), '백남준의 퍼포먼스와 김현자의 춤' ‘하루Ⅰ’, ‘하루Ⅱ’ 안무 및 출연(92), ‘모란관찰’ (98), '바다' (03), '비어 있는 들' (03), '매창-매화, 창에 어리다' (05)
-
-
배정혜 (재임기간 : 2006.01.02 ~ 2011.12.31)
-
1966. 중앙 여고 졸업
1970. 숙명여자대학교 국문학과 졸업
1974.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체육과(무용전공) 졸업
1966. 중앙여고 무용강사
1974 ~1989. 선화예술학교 무용부장 역임
1986 ~1989. 국악원 상임안무자
1989 ~1998. 시립무용단 단장
2000 ~ 2002. 국립무용단 단장
2006 ~ 2011. 국립무용단 단장
-
상훈
-
1970. 최우수예술가상 수상 무용부문- 불의 여행 자랑스런 서울시민 600인상 7인의 평론가가 뽑은 우수 무용걸작선 - 두레 선정 1996. 문학의 해 기념 문인협회 가장 문학적인 무용가상
-
주요작품 및 예술활동
-
타고남은 재(77), 정심(正心)(78), 수평선(79), 대화(84), 이 땅의 들꽃으로 살아(85), 강남 제비(86), 유리도시(87), 우륵의 얘기/당신의 얼(88), 불의 여행(90), 떠도는 혼(99), 두레 (93), 서울까치(95), 시집가는 날(96), 하얀 강(97), 천만인의 소리(98), 영혼의 춤(99), 신라의 빛(2000), 춘향전-춘당춘색고금동(01), 코리아환타지(01), 춤 춘향(02), 춘향전(03), 법 타고 남은 재 2(04), APEC 정상회담 개회식 행사 총 안무(05), Soul 해바라기(06), 프린세스 콩쥐(11)
-
-
윤성주 (재임기간 : 2012.06.14 ~ 2015.06.30)
-
1975. 서울예술고등학교 졸업
1979. 이화여자대학교 체육대학 무용학과 졸업
1992.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졸업
2005. 세종대학교 무용학과 박사과정 수료
1979. ~ 1994. 국립무용단 주역 무용수
1992. ~ 1994. 서울예술고등학교 강사
1994. ~ 2001. 국립국악고등학교 교사
1995. ~ 2007. 중앙대,세종대,한양대,국민대,한국예술종합학교 강사 역임
2007. ~ 2009. 재단법인 전문무용수지원센터 이사장
2009. ~ 2011. 국립중앙극장 운영심의회 및 운영자문회 위원, 제 14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문화예술 분과위원장
2013.6 ~ 2015.6 국립무용단 예술감독
-
상훈
-
1986. 문공부 장관 표창(전통문화 해외선양)
1988. 체육부 장관 올림픽 기장(문화장)
-
주요작품 및 예술활동
-
강낭콩 꽃보다 더 푸른..(2000), 그대, 논개여(2010), 신들의 만찬(2013), 묵향(2013), 토너먼트(2014), 제의(2015) 등
-
-
김상덕 (재임기간 : 2016.10.21 ~ 2019.10.18)
-
1985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 졸업
1989 세종대학교 무용과 학사 졸업(한국무용)
1992 세종대학교 체육학과 석사 졸업(한국무용전공)
1998 한양대학교 체육학과 박사 수료(무용)
1990-1992 국립무용단 단원
2006-2007 워커힐 민속예술단 무용감독
2000-2001 세종대학교 무용학과 겸임교수
2006-2007 전북대학교 무용학과 초빙교수
2008-2009 동국대학교 무용학과 초빙교수
2012-2016 울산시립무용단 예술감독
-
상훈
-
1987 제17회 동아무용콩클 금상수상
1991 문화관광부 공로상
1997 동계 유니버시아드 조직위원회 공로상
2005 국회문화 관광위원회 안무상
2018 이데일리 문화대상 ‘국립무용단 안무작 리진’ 최우수상 수상
2018 서울시 시의회 의장 표창장
-
주요작품 및 예술활동
-
2002 가련(천년의사랑), 2006 대향연(대장금), 2008 꽃신, 2012 AD암각화, 2013 타타타, 2013 꽃이 피고 지고, 2014 흑백깃의 사랑이여, 2015 자란, 2016 장생포 카르멘, 2016 리진
-
-
손인영 (재임기간 : 2019.11.01 ~ 2023.04.11)
-
1981 진주여자고등학교 졸업
1985 세종대학교 학사졸업(한국무용전공)
1992 이화여자대학교 석사졸업(한국무용전공)
1996 뉴욕 컬럼비아대 석사졸업(무용교육전공)
2019 성균관대학교 박사졸업(예술철학전공)
1985~1993 국림무용단 단원
1999~2000 서울예술단 무용감독
2000~2009 한국예술종합학교 시간강사
2000~2015 나우무용단 이사장 및 예술감독
2001~2004 한성대학교 시간강사
2007~2009 공연예술단체 집중육성단체 대표
2009~2011 국립박물관 문화재단 극장용 상주단체 예술감독
2010~2012 예비사회적기업 나우무용단 대표
2011~2013 M극장 상주단체 예술감독
2011~2012 인천시립무용단 예술감독
2012~ 2016 경희대학교 시간강사
2016~2018 제주도립무용단 상임안무자
-
상훈
-
1983 제 20회 신인무용콩클 특상수상
2003 PAF(평론가) 예술상 수상: 작품 <감각>과 <페미타지>로 안무상 수상
2005 문화예술 위원회 올해의 예술상 수상: 작품 <안팎>으로 수상
-
주요작품 및 예술활동
-
2018 <지달립서>, 2017 <매듭>, <자청비>, <상.상(上·相) 그리고>, <천년의 몸짓, 舞>, 2016 <만덕>, 2013 <Maybe Now>, 2012 <인당수>, 2011 <흥부>, 2010 <신데렐라 되기>, <나례>, 2009 <삼일밤 삼일낮>, <So far.. so close..>, 2008 <Under the Roof>, <금일‘403>, 2007 <위무>, <대면>, 2006 <웃음>, 2005 <안팎>, <금일’610>, 2004 <아바타처용 II>, <신, 공무도하가>, 2003<아바타처용 I>, <손인영의 춤>, <페미타지 II>, 2002 <감각>, <페미타지 I>, 2001 <손의 죽음>, <소통>, 2000 <청산별곡>, 1999 <서동요>
저서 - 홀로추는 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