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빠른예매 바로가기 사이트 지도 바로가기
월간미르 상세

2019년 04월호 Vol.351

판을 이끌어가는 힘

VIEW 프리뷰2┃국립극장 완창판소리 '최진숙의 찬향가-김세종제'

분명한 성음과 강인한 통성에 완벽한 연기력으로 소리판을 이끌던 최진숙이

아버지와 함께 30년 전 감동의 무대를 소환하다.

 

벌써 30년은 됐을 것이다. 군산에 판소리 실태를 조사하러 갔는데, 하필 그날이 군산국악원 회원들의 곗날이었다. 1960~70년대 판소리가 몰락했을 때, 마지막 남은 호남의 판소리 애호가들은 국악원이라는 단체를 중심으로 모여 계를 했다. 한 달에 한 번 돌아오는 곗날에는 회원들이 소리꾼을 여럿 초청해서 판소리를 들으며 북도 치고, 음식도 먹곤 했다. 거기서 어리고 예쁜 소녀가 나이 든 남자의 북장단에 맞춰 소리하는 특별한 광경을 보았다. 영화 ‘서편제’에서 아버지 유봉이 북을 치고, 딸 송화가 소리하는 장면과 똑같은 광경이 벌어지고 있었던 것이다. 물론 그때는 영화 ‘서편제’가 나오기 전이었으니까 그들이 영화의 장면을 모방한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영화가 당시에 흔히 볼 수 있었던 장면을 재현했다고 보아야 한다. 그때 본 남자와 소녀가 바로 아버지 최영길 명창과 딸 최진숙이다.

 

최진숙은 소리하는 집안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최영길 명창이고, 고모할머니가 전라북도 무형문화재이던 최난수 명창이다. 그러니 최진숙은 어머니 배 속에서부터 소리를 듣고 자란 셈이다. 그런 그녀가 소리의 길로 들어선 것은 오히려 자연스러운 과정이었다. 아버지가 소리꾼이었지만 아버지에게 직접 소리를 배우지는 않았다. 그냥 어깨너머로 소리하는 것을 듣고 배우는 정도였다고 한다. 그러다 김영자 명창에게 ‘수궁가’를 배우기 시작했는데, 김영자 명창이 너무 바쁜 탓에 가르칠 여력이 없다며 성우향 명창에게 보냈다. 서울국악예술고등학교(현 국립전통예술학교) 재학 때였다. 1987년경이었는데 알다시피 이때는 서울올림픽으로 온 나라가 시끌벅적할 때였다. 한강의 기적이란 말이 유행한 것도 이 무렵이었다. 최진숙은 성우향 명창으로부터 1995년까지 ‘춘향가’와 ‘심청가’를 배웠다. 최진숙은 그렇게 배운 소리로 1988년 11월 18일 제6회 전주대사습놀이 학생부 판소리 장원을 차지했다. 열아홉 살 때였다. 전주대사습놀이 학생부에서 장원을 하면서 최진숙은 우리나라 판소리를 이끌어나갈 차세대 명창감으로 촉망받는 소리꾼이 됐다.


대학을 졸업하고 최진숙은 국립창극단과 국립국악원에서 활동했다. 창극에서는 춘향과 심청 역을 맡아서 공연했다. 소리 실력뿐만 아니라 조그마하고 고운 자태가 전통적인 여인상에 잘 맞았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최진숙의 섬세한 너름새와 연기력은 이때 익힌 것이다. 소리 공부 역시 꾸준히 이어갔다. 김수연 명창으로부터 ‘흥보가’, 김일구 명창로부터 ‘적벽가’, 그리고 안숙선 명창으로부터 ‘수궁가’를 배워 판소리 다섯바탕을 모두 부를 수 있게 됐다.


그동안 상도 많이 받았다. 고등학생 때 받은 전주대사습놀이 학생부 판소리 장원에 이어 1991년 전주대사습놀이 판소리 일반부 장원을 했고, 1998년에는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마침내 2018년에는 전국민요경창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판소리가 아니고 민요부에서 수상한 것이 다소 아쉽기는 하나, 민요와 판소리가 같은 음악 어법으로 돼 있기 때문에 판소리로 대통령상을 받은 것이나 마찬가지다.

 

이번 ‘완창판소리’ 공연에서 부를 소리는 성우향 명창으로부터 이어받은 김세종제 ‘춘향가’다. 김세종은 전라북도 순창 출신으로 ‘후기 8명창’의 한 사람으로 꼽힌다. 신재효가 고창에서 판소리 소리꾼을 모아 교육할 때 소리 선생으로 판소리를 지도했다고 하며, 진채선을 데리고 상경해 경회루 낙성연에서 소리를 하게 한 사람이기도 하다. 김세종의 ‘춘향가’는 김찬업·정응민을 거쳐 성우향에게 전승됐는데, 1960년대 초 판소리가 절멸의 위기에 처했을 때 전통 판소리의 특징을 잘 간직하고 있다 하여 재발견된 소리다. 이때 정응민으로부터 ‘춘향가’를 이어받은 사람이 정권진·성우향·조상현·성창순이다.


정응민은 세 종류의 ‘춘향가’를 불렀다고 하는데, 소리를 배우는 제자들의 능력에 따라 각기 다른 소리를 가르쳤다고 한다. 정권진은 정응민의 아들로 다양한 성음의 변화를 특징으로 전통에 충실한 소리(방안소리)를 했다. 조상현은 가장 오랫동안 소리를 배우며 다양한 더늠을 익혔다. 명고수 김명환은 그 중 성우향이 가장 수준 높은 소리를 이어받았다고 말한 바 있다.


성우향은 정응민에게 배우기 전에 박초월의 소리를 배워 명창으로 이름을 날렸다. 그래서 성우향의 ‘춘향가’에는 아무래도 박초월 판소리의 영향이 짙게 남아 있다.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는 고음과 폐부를 찌르는 듯한 슬픈 성음은 박초월 소리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최진숙은 이러한 성우향 명창의 소리를 이어받았다. 2017년 ‘남산골 명인열전’ 공연에서 그녀의 소리에 대해 “분명한 성음과 강인한 통성에 완벽한 연기력으로 판을 이끌어나가는 힘을 지니고 있다”라고 한 것은 그녀가 성우향의 소리를 제대로 이어받았다는 말이다.


최진숙은 전통 판소리에만 매어 있는 사람이 아니다. 그녀는 다른 음악이나 예술 장르와도 융합을 시도했다. 관현악은 물론이고, 전통무용이나 현대무용과도 기꺼이 함께했다. 이러한 그의 태도는 2016년 국립극장에서 펼친 단독 콘서트 ‘전통과 현대 그 사이의 자유로움’이라는 공연에 잘 드러나 있다. 전통과 현대 사이에서 갈등이 아니라 자유를 찾음으로써 새로운 예술 세계를 열어가고 있는 것이다.


4월에 열리는 국립극장 ‘완창판소리’ 공연에는 고수가 세 명이나 등장한다. 국악과 양악을 넘나드는 활동을 하고 있는 젊은 소리꾼 유태평양, 중견 명인으로 아쟁 연주자이기도 한 이태백 그리고 최진숙의 아버지 최영길이 북을 친다. 전통과 현대를 넘나드는 활동을 하는 그녀의 태도가 세 사람의 고수 선정에서 그대로 드러난다. 개인적으로는 최진숙이 소리를 하고 최영길이 북을 치는 모습이 가장 기대된다. 30년 전 군산 어느 모퉁이에서 보았던 눈물겹던 부녀의 모습을 다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그 부녀는 어떻게 변했을까? 벌써부터 공연이 기대된다.

 

최동현 군산대학교 국문과 교수·시인·판소리학회장. 전라북도 문화재위원회 위원을 지냈으며, 현재 전주세계소리축제 조직위원회 부위원장을 맡고 있다.

 

국립극장 완창판소리 ‘최진숙의 춘향가-김세종제’

 

날짜     2019년 4월 20일
장소     국립극장 하늘극장
관람료  전석 2만 원
문의     국립극장 02-2280-4114

사이트 지도

사이트 지도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