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빠른예매 바로가기 사이트맵 바로가기

박인혜 X 정연락 X 최인환 <종이 꽃밭:두할망본풀이>

기간
2023-07-01 ~ 2023-07-02
장소
달오름극장
장르
콘서트
관람시간
70분 예정
주최
국립극장
시간
토 19:30, 일 15:00
티켓오픈
패키지: 5.16(화) 14:00 / 개별공연: 5.18(목) 14:00
관람연령
초등학생 이상 관람가
문의
02-2280-4114
소득공제
신용·직불카드 결제 / 현금영수증 신청시 가능
티켓가격
전석 30,000원

예매달력

ㆍ예매가능 잔여좌석

공연과 연계해 볼 수 있는 공연예술박물관 무료 관람 안내 공연예술자료 검색 및 열람 공간 공연예술 디지털아카이브
  • 2020년 3월 1일부터 유튜브는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유튜브 동영상을 시청하시려면 다른 브라우저(크롬, 엣지, 파이어폭스, 오페라 등) 를 이용하세요.

  • 공연관련이미지 썸네일
  • 공연관련이미지 썸네일
  • 공연관련이미지 썸네일
  • 공연관련이미지 썸네일

알립니다!

공연소개

신이 되고 싶은 두 아기씨의 꽃 피우기 내기.
다시 쓰는 신화, 지화(紙花) 밭에서 판소리를 만나다.

생명을 점지해 주는 신, 누가 진짜 ‘생불할망’이 될 것인가?
이 이야기는 개인의 고립에 관한 이야기기도, 사랑과 연대에 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판소리 창작자 박인혜, 지화 작가 정연락, 베이스 연주자 최인환이 제주 무속 신화 『생불할망본풀이』를 새로운 무대 언어로 풀어낸다. 동시대 판소리의 다채로움과 동해안 별신굿 지화를 중심으로 한 전통 종이 오브제의 아름다움을 만끽해 보자.


출연 및 제작진 소개

박인혜
판소리 창작자이며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이수자이자, <판소리아지트 놀애박스>의 대표이다. 십여 년 간 판소리 1인극, 창극, 뮤지컬, 드라마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판소리 창작 작업을 했다. 판소리 배우이자 작창가로 주요 활동을 했으며, 2021년 <오버더떼창:문전본풀이>로 연출 데뷔, 의정부음악극축제 NEXTWAVE 최우수작품상을 수상했고, 백상예술대상 젊은 연극상에 노미네이트 되며 주목받았다. 판소리가 가진 고유의 연극성과 음악성, 연기술 등이 동시대 극에서 어떻게 발현되어야 하는지 고민하며 작업하고 있다. 주요 작품으로 <판소리 쑛스토리>, 뮤지컬 <아랑가>, 창극 <미녀와 야수>, <판소리 필경사 바틀비> 등이 있다.

정연락
국가무형문화재 동해안별신굿의 무악과 지화를 故김석출, 故김용택, 故김정희 등에게 전수받아 현 전승교육사로 활동 중이다. 마지막 세습무의 대를 이어 현장성과 즉흥성이 강한 동해안별신굿의 예술 및 지화를 무대예술로 작품화하는 등 콘텐츠를 끊임없이 개발하고 연구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고려대학교 대학원 문화콘텐츠학과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2023년 국립해양박물관 특별기획전 <별별 바다 神> 외 14회에 걸친 지화 및 무속 오브제 초청 전시 및 관련 저서, 공저, 논문 집필로 동해안별신굿의 예술성을 널리 알리고 있다.

최인환
<음악그룹 나무>의 대표이자, <재즈 탱고 프로젝트 라벤타나>의 멤버이다. Jazz, Pop, World-Music 등 다양한 장르에서 베이스 연주 및 창작활동을 하고 있다. 특정 장르에 얽매이거나 고정되지 않는 것을 지향하며 활동해왔고, 이렇게 축적된 다양한 음악에 대한 이해가 자신의 연주와 창작물에서 발휘되길 희망한다. 특히 최근 <음악그룹 나무> 활동을 중심으로 다양한 전통 음악 연주자들과의 협업을 활발히 이어왔다.주요 작품으로 <황민왕 이음굿 시리즈 iii 윤두리 굿>, <모노판소리 ‘렬렬춘향’>, 라벤타나 음반 <Interlude!> 등이 있다.


할인안내



좌석배치도


사이트맵

사이트맵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