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확인방법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단체 바로가기
전체메뉴 열기
퀵메뉴

공연일정

  • 공연
  • 공연안내
  • 공연일정
2024-2025 국립극장 레퍼토리시즌
관현악시리즈Ⅳ <스위치>

  • 기간2025-06-21 ~ 2025-06-21
  • 장소해오름극장
  • 장르국악
  • 관람시간110분(휴식 30분(예정) 포함)
  • 관람연령초등학생 이상
  • 주최국립극장
  • 시간15:00
  • 티켓오픈패키지 티켓 11.15(금) 14시 / 일반 티켓 11.19(화) 14시
  • 문의02-2280-4114
  • 소득공제신용·직불카드 결제 / 현금영수증 신청시 가능
  • 티켓가격
    • R 50,000원 / S 30,000원 / A 20,000원
달력 테이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예매가능 잔여좌석

종료

공연소개

국립국악관현악단과 KBS교향악단, 두 악단을 스위치해

국악관현악 창작곡의 매력을 두 배로 즐긴다!


전통 국악기를 기반으로 동시대 창작음악을 선도해 온 국립국악관현악단과 서양 클래식 음악의 전통을 이어온 KBS교향악단이 하나의 무대에서 스위치교차한다. 국악관현악을 위해 창작된 우수한 한국 창작음악을 동서양을 대표하는 두 악단의 연주로 비교 감상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다. 1부는 KBS교향악단이 2부는 국립국악관현악단이 맡아 하나의 곡을 1부 마지막과 2부 첫 곡으로 들려주는가 하면, 1부는 국악기인 가야금과 협연하고 2부는 서양악기인 첼로와 협연하는 등 음악이 지닌 보편성, 예술성 그리고 각 단체만의 정체성을 동시에 조망한다. 그간 서양 오케스트라를 위해 창작된 곡을 국악관현악으로 연주하는 경우는 많았지만 가장 활발하게 창작 작업을 지속해 축적된 수많은 국악관현악곡은 국내 국악관현악단으로 확산 기회가 한정된다는 한계가 존재했다. <스위치>는 우수한 창작곡의 매력은 장르를 넘어 무한하게 확장될 수 있다는 우리 음악의 새로운 확장 가능성을 확인시켜주는 무대가 될 것이다.


프로그램

지휘 정치용

1부
KBS교향악단

  굿판이 절정에 이르는 마지막 3분

  오케스트라를 위한 '무당의 춤'

작·편곡 이고운

  안타깝게 목숨을 잃은 어린 영혼들에게 건네는 위로

  25현 가야금 협주곡 '어린 꽃'

작곡 손다혜

편곡 최지운

가야금 협연 문양숙

  한국 땅에 새겨진 민초들의 발자국, 그 아름다운 무늬

  한오백년을 주제로 한 관현악 '무늬(MooNee)'

작곡 최지혜

편곡 한정임

인터미션 30분

2부

국립국악관현악단

  한국 땅에 새겨진 민초들의 발자국, 그 아름다운 무늬

  한오백년을 주제로 한 국악관현악 '무늬(MooNee)'

작곡 최지혜

  첼로로 대변되는 '로제타 셔우드 홀' 선교사의 마음

  Cello Concerto '미소(微笑)'

작곡 최지혜

첼로 협연 주연선

  경기 무속음악을 바탕으로 선보이는 국악관현악만의 미감

  국악관현악 '신내림'

작곡 박범훈


출연 및 제작진 소개


 지휘 | 정치용

뛰어난 바톤 테크닉과 곡의 핵심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통찰력의 지휘를 보여주는 대한민국 대표 마에스트로(Maestro).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를 거쳐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 음악대학에서 거장 미하엘 길렌(Michael Gielen)으로부터 지휘를 배웠다. 1989년 오스트리아 국영방송(ORF) 주최 국제 지휘 콩쿠르에서 우승하면서 일찍이 세계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그 후 잘츠부르크 음악제(Salzburg Festival) 부지휘자를 거쳐 라이프치히 방송교향악단, 뮌헨 심포니 등을 객원 지휘하며, 섬세하고 깊이 있는 음악을 도출해내는 지휘로 호평받았다. 1993년 귀국한 후에는 서울시립교향악단을 비롯해 인천시향·원주시향·창원시향 등에서 상임지휘자를 역임하며 국내외 유수의 교향악단을 두루 지휘했다. 관현악곡, 발레 및 오페라, 현대음악과 전통음악 등 음악 전반에 걸쳐 활발한 활동을 해오고 있는 정치용은 작곡가 윤이상 작품의 국내 초연을 가장 많이 한 지휘자로도 유명하다.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제6대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예술감독과 상임지휘자를 역임하는 등 자신의 음악세계를 펼쳐가고 있으며,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의 지휘과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가야금 협연 | 문양숙

국립국악관현악단 가야금 수석. 일본에서 태어나, 국립국악관현악단에 연수 단원으로 입단 후 정단원으로 채용되었으며, 2012년부터 현재까지 가야금 수석 단원으로 재직 중이다. 일본 거주 중 통신교육을 통해 평양음악무용대학 전문부 과정을 이수하고 북한 가야금을 습득하였으며, 이후 중앙대학교 한국 음악과에 입학하여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국립국악원 창작악단·KBS국악관현악단·성남시립국악단·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연정국악원·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National Chinese Orchestra Taiwan·The Orchestra ASIA Japan 등 국내외 유수 악단들과의 협연 무대에 올랐다. 2016년에는 UN 참전용사를 기리는 평화음악회를 위해 '문양숙 가야금 앙상블'을 창단해 매해 음악감독으로 참여하고 있다. 영남대학교와 목원대학교 겸임 교수를 역임했으며, 중앙대학교·한국예술종합학교·이화여자대학교에서 강사로 후학을 지도한 바 있다. 현재 서울대학교와 동국대학교에 출강하여 후학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2013년 국립중앙극장에서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첼로 협연 | 주연선

첼리스트 주연선은 서울시립교향악단 첼로 수석, 미국 켄사스시티 심포니 오케스트라 Associate principal을 역임했으며, 커티스 트리오, 첼리스타 첼로앙상블 수석으로 활발히 활동 중이다. 주연선은 카네기홀에서 펼쳐진 이차크 펄만과의 듀오, 로린 마젤의 바이올린 연주로 함께 연주하는 등 여러 대가와 실내악 공연 경험을 다채롭게 쌓아왔으며,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KBS교향악단, 이스턴 코네티컷 심포니 오케스트라, 서울시립교향악단 등과 협연했다. 부산 MBC 콩쿠르 첼로부문 1위 및 전체대상,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그린필드 콩쿠르 시니어 부문 시상자 선정, 서울예고를 빛낸 음악가상 운파(임원식)상, 이스턴 코네티컷 심포니 오케스트라 콩쿠르 1위, 소란틴 국제 콩쿠르 전체대상, 2010년 예술의전당 영아티스트로 선발, 2013년 아트실비아 실내악 오디션 피아노 트리오 부분 대상을 수상했다. 현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음악학부 교수, 현대차 정몽구 장학재단에서 지도교수로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연주 | 국립국악관현악단



연주 | KBS교향악단

1995년 창단된 국립국악관현악단은 국립극장 전속단체로 동시대의 음악을 창작하고, 수준 높은 음악으로 전 세계 관객에게 감동을 전하고 있는 연주 단체다. 유구한 역사 속 개발되고 전승돼 온 한국 고유의 악기로 편성된 국립국악관현악단은 국내외 저명한 작곡가 및 지휘자들을 영입해 60여 명의 전속 연주자와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전통 음악의 현대적인 재해석, 한국의 정신과 정체성을 담은 사운드, 전 세계 관객에게 감동을 전하는 독자적인 레퍼토리로 차별화된 음악회를 기획·개발해 꾸준히 선보이고 있다. 현재 8대 예술감독 겸 단장 채치성과 함께 국립예술단체다운 품격이 있는 공연, 모두가 함께 즐길 수 있는 공연, 국립국악관현악단만의 정체성이 담긴 공연을 목표로 과거와 현재, 미래를 잇는 창작 작업에 끊임없이 도전하고 있다.


KBS교향악단은 1956년 창단되어 수준 높은 연주를 통해 대한민국 클래식 음악 발전을 선도해 왔다. 임원식 초대 상임지휘자를 시작으로 홍연택, 원경수, 정명훈, 드미트리 키타옌코, 요엘 레비, 피에타리 잉키넨 등 세계 최정상의 지휘자들이 KBS교향악단을 이끌었다. 2012년 전문예술경영체제를 갖춘 재단법인으로 출범하여 명실상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교향악단으로 자리매김하였다. KBS교향악단은 교향악부터 실내악 등 다양한 레퍼토리로 관객에게 감동을 선사하고 있다. 매년 100회 이상의 공연으로 10만 명이 넘는 관객에게 고품격 음악의 향유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KBS교향악단은 언제나 차별화된 연주와 창의적인 기획을 통해 국민과 공감하는 대한민국 국가대표 클래식 문화브랜드로 함께 할 것이다.



할인안내

프리 패키지 자유로운 선택으로 완성하는 나만의 시즌
프리패키지Ⅱ R/S 40%할인
패키지 구성
2025.1.1.~6.29. 기간 내 10작품 이상 선택 각 50set 한정
클릭 ▶ 프리 패키지 예매 바로가기

NOK 시리즈 패키지 국악관현악의 정수를 만날 시간
NOK 시리즈 패키지 R석 40%할인 100,000원 60,000원
패키지 구성
국립국악관현악단 관현악시리즈Ⅲ 베스트 컬렉션
국립국악관현악단 관현악시리즈Ⅳ 스위치
공연일정
국립국악관현악단 관현악시리즈Ⅲ 베스트 컬렉션 2025.3.12. 수 19:30
국립국악관현악단 관현악시리즈Ⅳ 스위치 2025.6.21 토 15:00
R석 50set 한정
클릭 ▶ NOK 시리즈 패키지 예매 바로가기

할인정보

할인명 외국인 Foreigners Discount
할인율 10%
할인대상 외국인 할인 동반 1인까지 1인 2매
비고 여권 외국인등록증 제시 미지참시 현장 차액지불 When you pick-up your tickets at the Ticket Office you must present your ID Passport Alien Registration Card

할인명 국립국악관현악단 마니아
할인율 30%
할인대상 2024년 1월 이후 국립국악관현악단 공연 유료 실물 지류 티켓 소지자 1인 2매
비고 해당작품 관현악시리즈 한국의 춤결 창작음악 소소 음악회 이작가 2024 시리즈 포함 25년 관현악시리즈 예정작 포함 예매내역서 확인 불가 미지참시 현장 차액지불

할인명 함께할인
할인율 30%
할인대상 3매 이상 구매자 1인 3매이상
비고 3매 이상 구매시 할인 적용 동일회차 동일 등급 예매 시 적용 부분취소 불가

할인명 중구 용산 동대문 지역
할인대상 중구 용산 동대문 소재 거주민 또는 근무자 1인 2매
비고 주소가 기입된 주민등록증 명함 현장 확인 미지참시 현장 차액지불

할인명 엔톡 NTOK 회원
할인대상 국립극장 무료회원 1인 4매
비고 국립극장 무료회원

할인명 문화 릴레이 티켓
할인율 20%
할인대상 문화릴레이 티켓 19개 참여기관의 2024년 1월 이후 유료공연 관람자 1인 2매
비고 증빙방법 참여 공연장 국립극장 포함 1 참여기관의 24년 1월 이후 유료관람 실물 티켓 제시 2 문화릴레이 로고가 있는 티켓 예시 문화릴레이 로고 공연장 홈페이지 게재 3 모바일 온라인 예매내역서 캡쳐 불가 인터파크 예매내역 영수증은 적용 불가 미지참시 현장 차액지불

할인명 임산부
할인대상 임산부 본인만
비고 산모수첩 혹은 임신확인서 현장 확인 미지참시 현장 차액지불

할인명 다둥이카드
할인대상 다둥이카드 소지자 및 가족 구성원 다둥이카드 내 가족 구성원 표기 인원수
비고 다둥이카드 내 가족 구성원 성명기입 혹은 가족관계증명서 현장확인 미지참시 현장 차액지불

할인명 문화패스 청소년 등
할인대상 2000년 이후 출생자 혹은 대학생 본인만
비고 생년월일이 적힌 신분증 의료보험증 각종 서류 등 대학생 학생증 지참 대학생증명서 미지참시 현장 차액지불

할인명 예술인패스카드
할인율 30%
할인대상 예술인패스카드 소지자 본인만
비고 예술인패스카드 모바일 또는 실물카드 현장확인 미지참시 현장 차액지불

할인명 공연예술인
할인대상 국립극장 예술인회원 본인만
비고 국립극장 예술인 회원 확인

할인명 경로
할인대상 1960년 이전 출생자 본인만
비고 신분증 현장 확인 미지참시 현장 차액지불

할인명 국가유공자
할인율 50%
할인대상 국가보훈등록증 소지자 1인 2매
비고 보훈보상대상자 유공자증 국가유공자 유족증 국가유공자 확인서 현장 확인 미지참시 현장 차액지불

할인명 장애인
할인율 50%
할인대상 복지카드 소지자 1인 2매
비고 복지카드 현장확인 미지참시 현장 차액지불 단체관람 문의 국립극장 02-2280-4114

할인명 문화누리
할인대상 문화누리카드 소지자 본인명의 표기 필수
비고 문화누리카드 현장확인 미지참시 현장 차액지불

할인명 단체
할인대상 20인 이상 단체 문의 국립극장 02-2280-4114

문화릴레이티켓이란
국공립예술단체가 참여 공연장의 관람 티켓을 소지하신 분들에게 공연 예매 시 동반 1인까지 할인 혜택을 주는 티켓 할인 협력 서비스
참여단체 경기아트센터 국가유산진흥원 국립국악원 국립오페라단 국립발레단 국립합창단 국립현대무용단 국립극장 국립현대무용단 국립국악관현악단 세종문화회관 성남문화재단 안산문화재단 예술의전당 용인문화재단 춘천문화재단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모든 할인은 중복 적용이 불가능합니다.
관람일 매표소에서 해당 할인과 관련된 증빙서류 신분증 학생증 복지카드 유족증 유공자증 등본 의료보험증 등을 제시하여 할인 적용 대상임을 확인해주셔야 하며 미지참 시 현장에서 정가 대비 차액을 지불하셔야 합니다.
모든 할인은 실 관람자 기준으로 적용되며 티켓 수령 시 반드시 할인대상 본인이 직접 신분증 확인 후 수령하셔야 합니다. 대리수령 및 양도 불가
현장에서의 할인을 변경 및 공연 당일 취소 변경 환불이 절대 불가합니다.


좌석배치도

좌석 운영 안내

객석 내에서는 이동을 자제해주시고 반드시 예매한 좌석에서 관람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해오름극장 좌석 배치도
R석 S석 A석 미판매석 인터파크

티켓 판매처 국립극장 인터파크
좌석배치도 상 빨간 사각형 표기는 인터파크 판매 좌석이며 그 외 좌석은 국립극장 홈페이지에서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추후 예매처 상황에 따라 좌석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일부 좌석은 사전 마감될 수 있습니다.

공지사항

관람 연령 및 예매 티켓 수령 안내
1) 본 공연은 초등학생 이상 관람 가능하며, 관람 연령 확인을 위해 생년월일이 기재된 증빙서류를 요청할 수 있으니 반드시 지참하시기 바랍니다. (2018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
관람 연령 미숙지로 인해 공연 당일 관람이 불가하거나 관람을 포기한 경우 예매 취소, 환불, 변경은 일체 불가합니다. 

2) 예매 티켓 수령 및 현장 구매는 공연 시작 1시간 전부터 가능하며, 공연 시작 전 매표소가 혼잡하오니 되도록 공연 시작 30분 전까지 입장권을 수령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3) 공연 당일 매표소에서 예약자명의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혹은 티켓예매문자(예약번호)로 티켓수령이 가능하며, 할인을 받으신 경우 관련된 증빙자료를 지참하셔야 합니다.
증빙자료 미지참 시 정가에 대한 차액을 지불하셔야 티켓수령이 가능하며 티켓수령 및 공연 시작 이후에는 증빙을 하더라도 차액은 환불 처리가 불가합니다.
발권된 티켓은 분실 시 재발권이 불가하오니 보관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공연 관람안내 
1) 공연 시작 후 지정된 시간 외에는 입장이 제한되며, 입장 허용 시 다른 관객의 관람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안내원의 안내에 따라 본인 좌석이 아닌 다른 좌석으로 안내받으실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환불은 불가합니다.

2) 미리 공지된 공연실연 시간과 실제 공연실연 시간이 다소 상이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른 환불은 불가합니다. 

3) 사전에 협의되지 않은 사진촬영, 영상녹화, 음원녹취는 절대 불가합니다. 

4) 주차 및 교통혼잡으로 인해 당일 관람이 불가하거나 관람을 포기한 경우 예매 취소, 환불 및 변경이 불가하오니 가급적 대중교통을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메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