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극장(극장장 박인건)은 기획공연 마당놀이 <홍길동이 온다>를 오는 2025년 11월 28일(금)부터 2026년 1월 31일(토)까지 하늘극장에서 선보인다. 국립극장 마당놀이는 2014년 <심청이 온다>를 시작으로 <춘향이 온다>(2015), <놀보가 온다>(2016), <춘풍이 온다>(2018~2020), 10주년 기념작 <마당놀이 모듬전>(2024)에 이르기까지 누적 관객 23만여 명을 기록한 국립극장의 대표 흥행 브랜드다. 이번 작품은 극단 미추의 <홍길동전>을 바탕으로 오늘날 시대 정서를 반영해 새롭게 각색한 버전이다.
<홍길동이 온다>는 조선시대 대표 영웅 서사인 『홍길동전』을 마당놀이 특유의 풍자와 유머로 재해석한 작품이다.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지 못하는” 홍길동이 겪었던 불합리한 세상을 청년실업·사회적 단절·불평등 등 오늘날의 현실 문제들과 교차시켜 풀어내며, 시대를 관통하는 메시지를 전한다. 웃음과 흥 속에서 정의와 연대의 의미를 되새기게 하는 이 작품은 마당놀이 특유의 활기찬 에너지로 오늘의 관객에게 공감과 울림을 전한다.
과거 ‘마당놀이 홍길동’의 전설적 주인공 김성녀의 뒤를 이어, 이번 작품에서는 국립창극단의 간판스타 이소연과 국악그룹 ‘우리소리 바라지’의 김율희가 홍길동 역을 맡아 세대교체를 예고한다. 두 소리꾼은 대표 여성 소리꾼으로서 ‘젠더 프리(Gender-Free)’ 홍길동을 연기하며, 기존 영웅상에 새로운 시각을 더한다. 또한 원작에는 없던 여성 활빈당원 ‘삼충’ 캐릭터가 새롭게 등장한다. 홍길동을 동경하는 여성 활빈당원으로 조유아·홍승희가 더블캐스팅 되어 유쾌한 매력을 선보인다. 국립창극단에서 30여 년간 활약한 김학용과 창작집단 ‘깍두기’ 대표 추현종이 홍길동의 동료 ‘자바리’ 역으로 출연하며, ‘꼭두쇠’ 역은 정준태가 맡아 맛깔스러운 연기와 노래로 무대를 채운다.
‘한국형 히어로’ 홍길동과 활빈당의 활약은 공중 활공(플라잉), 마술, 아크로바틱 등 역동적인 무대와 함께 생생하게 펼쳐진다. 홍길동의 신묘한 능력을 관객 가까이에서 체험하게 해주는 마술 장면을 비롯해 홍길동이 적과 대결하는 플라잉 연출 등이 극의 박진감을 더한다. 50여 명의 배우·무용수·연주자들이 무대를 가득 채우고, 노래와 연기, 아크로바틱, 롤러스케이트 퍼포먼스까지 어우러져 시종일관 눈을 뗄 수 없는 장관을 연출한다.
이번 공연에도 마당놀이의 원조 제작진도 다시 뭉쳤다. 연출 손진책, 작곡 박범훈, 안무 국수호, 연희감독 김성녀 등 원년 멤버가 ‘홍길동전’의 재탄생을 준비 중이다. 이번에는 국악 작곡가 김성국이 새롭게 합류해 완성도 높은 음악을 선보인다. 기존 음악 모티브에 신곡 6곡이 더해져, 전통적인 가락에 현대적 리듬과 감각을 입힌 세련된 음악의 향연을 만들어낸다. 이 외에도 무대디자이너 박동우, 조명디자이너 김창기, 의상·장신구디자이너 한진국, 소품디자이너 김상희가 합류해, 밤하늘을 형상화한 무대와 해학이 녹아든 의상·소품으로 마당놀이 특유의 흥과 멋을 극대화한다.
마당놀이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관객 참여의 즐거움도 이어진다. 공연 전 엿을 나누는 작은 풍습부터, 돼지머리에 돈을 꽂으며 새해 복을 비는 고사, 공연 중 추임새와 뒤풀이 춤판까지 다양한 관객 참여 프로그램이 마련된다. 해학과 풍자, 신명과 소통이 어우러진 이번 마당놀이는 연말연시를 대표하는 ‘한국형 송구영신(送舊迎新)’ 공연으로, 웃음과 감동을 동시에 선사할 예정이다.
<홍길동이 온다>는 지난 7월 2025년 공연(12월 31일까지) 티켓을 1차 오픈했으며, 11월 18일(화) 오후 2시부터 2026년 1월 공연 티켓을 추가 판매한다. 예매·문의 국립극장 홈페이지(www.ntok.go.kr) 또는 전화(02-2280-4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