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공연
소년소녀를 위한 《소소 음악회》는 ‘국악 입문 맛집’으로 정평이 난 국립국악관현악단의 청소년 맞춤 공연으로, 보는 재미와 듣는 재미를 두루 갖춰 호평 받았다. 웅장한 국악 오케스트라 연주에 감각적인 음향, 스펙터클한 조명과 영상이 어우러져 공연장을 낯설고 경직된 곳이 아닌 친숙한 ‘국악 콘서트’ 현장으로 변모시킨다. 2025년에는 작곡·연출·무대·영상 등 각 분야의 고수들과 힘을 합쳐 소년소녀들이 일상의 스트레스를 잊고 재미있게 관람할 수 있는 국악 공연으로 무대를 꾸민다. 아무런 준비 없이 와도, 공연장에서 웃고 즐기는 사이 우리와 함께 살아 숨 쉬며 성장하는 우리 음악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곡명 | 작·편곡/협연 | 비고 |
'마지막 3분, 무당의 춤' | 작곡 이고운 | 2019년 위촉 초연 |
국악관현악을 위한 '소소시(小小時)' | 작곡 최지운 | 2021년 초연 |
QWER '고민중독' | 편곡 홍민웅 | |
'말발굽 소리' | 작곡 만다흐빌레그 비르바 편곡 박한규 | 2012년 초연 |
'아뿔싸, 시험!' | 작사 이기쁨·판소리공장 바닥소리 작창·협연 판소리공장 바닥소리 편곡 이고운 | |
'도도도 춘식이' 4화 물살 일렁이는 바다 中 | 편곡 최지운 | |
국악관현악을 위한 '버럭(怒)' | 위촉 작곡 손다혜 | |
'도도도 춘식이' 5화 혼돈의 도시와 나만의 집 中 | 편곡 정혁 | |
국악관현악 '청산(靑山)' | 작곡 김대성 | 2000년 초연 |
※ 프로그램과 연주순서는 악단 사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음
지휘 장태평
협연 판소리공장 바닥소리
출연 국립국악관현악단 · 2025 청년 교육단원
연출 이기쁨
무대 감독 정대교
무대 디자인 송지인
조명 디자인 원재성
음향 디자인 이상현
영상 디자인 고동욱
연출┃이기쁨 한양대학교 연극영화학과를 졸업했다. 창작집단 LAS의 대표로 현재 (사)한국연출가협회 이사로 활동 중이다. 2013년 <운현궁 로맨스>로 창작국악극 대상, 2018년 <제비씨의 크리스마스>로 서울어린이연극상 대상을 수상했고, 2019년 한국연출가협회 젊은연출가상, 대한민국 연극대상 젊은연극인상을 수상했다. 최근 뮤지컬 <무명, 준희> <종의 기원> <비밀의 화원> <접변> <유진과 유진>을 비롯해 무장애음악극 <나는 재미있는 낙타에요>, 국악뮤지컬 <닭들의 꿈, 날다>, 연극 <함수 도미노> 등 장르를 넘나들며 감각적인 시선이 돋보이는 작품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
지휘 | 장태평 중앙대학교에서 작곡을 전공하고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전문사로 지휘를 전공했다. 제11회 ARKO 한국창작음악제 국악부문에 선정된 국악관현악 ‘너븐숭이’를 비롯해 가야금협주곡 ‘바리’, 국악관현악 ‘춤꽃’ 등을 작곡했다. 2019년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청춘, 청어람>에 선정돼 객원 지휘자로 활약했으며, 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 부지휘자를 역임했다. <역의 음향> <반향> 등에서 작곡과 지휘에 대한 고정 관념을 깨는 모습을 보여주며 유연하고 성숙한 면모로 주목받았다. 국립국악관현악단과는 2024년 <음악 오디세이: 천하제일상> 공연에서 ‘일본 필드’ 작·편곡을 맡아 함께했다. | |
협연 및 작창 | 판소리공장 바닥소리 2002년 전통 판소리를 기반으로 새로운 형태의 공연을 통해 시대와 삶을 노래하자는 목표로 창단한 단체다. 소소한 일상을 주제로 동시대적 공감을 이끌어내는 동시에 과거와 현재, 미래의 사회적 문제를 인식하고 그 고민을 판소리에 담아 목청 높여 소리하고 있다. <체공녀 강주룡> <다큐판소리 TALE> <제비씨의 크리스마스> <닭들의 꿈, 날다> <해녀탐정 홍설록> 등의 대표작이 있으며, 창작 작업, 공연 제작, 음반 발매 등 다채로운 활동을 꾸준히 이어나가고 있다. <소소 음악회>에서는 정지혜 대표를 비롯해 이승민, 강나현 세 명의 소리꾼이 작사, 작창을 맡고 출연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