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극장(극장장 박인건)은 연극 <헌치백>을 6월 12일(목)부터 15일(일)까지 달오름극장에서 초연한다. 2023년 일본 최고권위문학상인 아쿠타가와상을 수상한 이치카와 사오의 소설 『헌치백』을 세계 최초로 무대화한 작품이다. 이번 공연은 한글 자막, 음성 해설, 수어 통역 등 접근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장애(Barrier-free) 공연으로, 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 동등하게 향유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원작 소설『헌치백』은 희귀 근육질환인 선천성 근세관성 근병증을 앓아온 작가 이치카와 사오의 작품으로, 동일한 장애를 지닌 40대 중년 여성 이자와 ‘샤카(釋華)’가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인공호흡기와 전동휠체어에 의지해 살고 있는 중증장애인 샤카가 온라인 필명 ‘샤카(紗花)’로 노골적인 성적 묘사를 담은 소설을 연재하며, 비장애인 여성처럼 임신과 중절이 가능한 몸을 열망한다는 파격적인 설정과 도발적인 문제의식으로 화제를 모았다.
그동안 비장애인 작가가 외부 시선에서 기술해 오던 장애 서사의 틀을 벗어나, 중증장애인 작가 이치카와 사오가 직접 본인의 장애 경험을 서술한 ‘당사자 문학’이라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장애를 대하는 현대사회를 실제 장애 여성의 시각에서 신랄하면서도 감각적인 텍스트로 담아냈다. 작가는 이 작품에 대해 "장애 이후 처음으로 나 자신의 당사자성을 정면으로 마주한 작품"이라고 밝힌 바 있다.
연출은 <엔젤스 인 아메리카><그을린 사랑><테베랜드> 등 유명 원작에 대한 섬세한 재창작으로 정평이 난 신유청이 맡았다. 윤색은 <붉은 낙엽><금조 이야기><알마게스트> 등을 작업한 김도영과 <엔젤스 인 아메리카><시련><테베랜드> 등 다수의 작품에서 번역 및 윤색으로 활동해 온 김진숙이 담당했다.
연극 <헌치백>은 장애인의 내밀한 욕망과 사회적 차별의 현실을 그린 원작의 당사자성을 최대한 훼손 하지 않기 위해 소설의 문장을 대사로 변형하지 않고 서술형 문장을 그대로 무대 위에 옮겼다. 신 연출은 “원작을 일반적인 희곡으로 각색하면 주인공 샤카의 단면만을 보여줄 것 같았다”라며 “소설을 단순히 무대로 옮기는 것이 아니라 소설을 읽고 난 뒤 각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감정과 해석을 무대에서 공감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에 집중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무대 위에서는 다섯 명의 장애인·비장애인 배우가 진지하면서도 유머러스한 원작의 서술문을 번갈아 가며 발화한다. 이와 더불어 1인칭 시점에서 쓰여진 주인공 ‘샤카’를 입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황은후, 차윤슬 두 명의 배우가 한 무대에 동시에 같은 배역으로 오르는 독특한 방식을 택했다. 두 명의 샤카는 서로를 자신이자 타자로 비춰내며 캐릭터의 내면까지 조명한다.
무대는 신유청 연출과 <엔젤스 인 아메리카> 등을 함께해 온 이엄지 디자이너가 맡아 작품 속 장애인 단체 거주 공간인 ‘잉글사이드’를 다층적 무대 구조로 입체감 있게 구축했다. 또한 무대 위 일부 장면을카메라를 통해 실시간 영상으로 중계하는 등 작품의 주제를 부각하기 위한 다양한 시각적 시도를 선보인다.
연극 <헌치백>은 4명의 수어 통역사가 배우들의 서술과 움직임을 함께하며 그림자 통역으로 수어 통역을 제공한다. 여기에 무대 위 변화, 배우들의 움직임을 폐쇄형 음성해설로, 대사를 영상 속 한글 자막으로 제공한다. 공연 당일에는 점자가 포함된 무료 프로그램북이 마련된다. 예매·문의 국립극장 홈페이지(www.ntok.go.kr) 또는 전화(02-2280-4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