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빠른예매 바로가기 사이트 지도 바로가기
월간미르 상세

2020년 12월호 Vol.371

전통예술 사전

민요가 궁금해요

국립국악관현악단 ‘베스트 컬렉션-민요’ 

National Orchestra of Korea, ‘Best Collection - Korean Folk Songs’ 


민중의 애환이 깃든 노래

Q. 민요란 무엇인가요. 
A. 민요란 일반 민중의 생활 속에서 전승되는 모든 구술시가口述詩歌의 총칭입니다. 민요는 판소리나 무가, 시조나 가사 등과 달리 비전문적인 가요이기에 누구나 쉽게 익히고 노래할 수 있습니다. 또, 민요 속 여러 표현은 생활 현장에서 민중이 실제로 겪은 다양한 체험과 느낌과 직접적으로 연관돼 있어서 민요를 통해 생생한 삶의 현장과 살아 있는 언어의 묘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

민요는 우리 역사 전 기간에 걸쳐 존속하면서 많은 변화를 겪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민요의 일부는 세련된 음악 또는 문학 양식으로 전환되거나 새로운 창작 시가의 모태가 되기도 했습니다. 이 점에서 알 수 있듯 우리가 오늘날 민요라고 통칭하는, 오래되고 거대한 장르 안에는 다채로운 내용·기능·형태를 가진 다양한 노래가 포함돼 있습니다. 

Q. 민요는 어떻게 나눌 수 있나요.
A. 민요는 기능적 특성에 따라 기능요와 비非기능요로 나뉩니다. 기능요는 특정한 상황에서 노동이나 의식·유희 등을 목적으로 부르는 민요입니다. 노동요에는 논밭에 나가 일하거나 길쌈할 때 부르는 ‘모내기소리’ ‘길쌈노래’, 의식요에는 장례 등 인생의 중요한 통과의례나 세시풍속날 부르는 ‘상여소리’ ‘지신밟기소리’, 유희요에는 놀이하면서 부르는 ‘강강수월래’나 ‘놋다리밟기’와 같은 노래가 있습니다. 한편 비기능요는 특정한 일과 관련없이 흥이 나면 언제 어디서나 부를 수 있는 노래로 ‘아리랑’ ‘도라지타령’이 대표적입니다.

기능요 중에서는 노동요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합니다. 여러 사람이 노동하면서 함께 노래 부르면 박자에 맞추어서 움직임을 통일할 수도 있고, 흥겨워서 고됨을 잊기도 합니다. 이처럼 전통적 노동 상황에서는 노래가 중요한 역할을 했기 때문에 다양한 노동요가 각 지역에서 활발하게 전승돼 오고 있습니다. 아래 ‘모내기소리’처럼 한 사람이 선창하면 여러 사람이 후렴구를 부르는 방식으로 소리를 주고받는 것이 특징입니다.

모를 심세 모를 심어 작년에 심었던 자리 또 심어 보세
어하 어하 어하뒤야 금년에도 삼배출 먹세
봄이 오면 씨앗 뿌려 여름에는 북돋와주고
어하 어하 어하뒤야 금년에도 삼배출 먹세
가을이면 추수하여 겨울에는 배 채워보세
어하 어하 어하뒤야 금년에도 삼배출 먹세 
전라북도 남원시 ‘모내기 소리’

Q. 민요를 감상하는 방법이 궁금해요.
A. 민요의 노랫말이 지역별로 생생한 방언이나 생활상을 담아내고 있듯이, 민요 가락 역시 지역별로 조금씩 다른 특징을 보입니다. 지역별 민요 가락의 특징을 알아두면 민요를 감상하기가 더 쉬워지고 흥미로울 수 있습니다. 

먼저 경기도·충청도 일부에서 불리는 경기민요는 가볍고 경쾌하고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 것이 특징입니다. 주로 5음 음계의 평조 선법으로 불리고, 세마치나 굿거리장단으로 노래하기 때문입니다. 이와 대조적으로 전라도 지역의 남도민요는 굵직하고 비장한 느낌을 전달합니다. 이는 굵은 발성으로 목을 누르고 꺾거나 계면조를 주로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한편 황해도와 평안도의 서도민요는 하늘거리는 콧노래처럼 들리면서도 마치 울음을 우는 것처럼 한탄스러운 느낌이 맺혀 있는 점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점은 강원도 민요에서도 느낄 수 있는데, 강원도 민요에는 구슬프면서 염불하듯이 이어지는 곡조(메나리조)가 많습니다. 경상도 민요 역시 지역적으로 인접한 강원도 민요의 영향을 받기도 했지만, 그 고유의 특징으로는 빠르고 힘찬 장단을 주로 사용한다는 점이 손꼽힙니다. 우리 민요를 들어보면서 노래에 고스란히 반영된 지역별 특색과 민중의 생활상을 느껴보기를 바랍니다.

이채은 '현재'의 삶을 바꾸는 '고전'을 공부하기 위해 읽고 쓴다. 판소리계 소설을 중심으로 조선 후기 문학과 예술에 관해 공부하고 있다
번역 한송희

국립극장 ‘완창판소리’ 중 남도민요 연창

National Theater of Korea ‘The Complete Performance of Pansori’


Korean folk music, carrying the bittersweet of ordinary people  

Q. What is minyo?
A. Minyo is the collective name of all oral poems passed down among the general public. Unlike pansori, muga, sijo, and gasa performed by professionals, anyone can easily learn and sing minyo. People can also feel the vivid livelihood of the time and the beauty of language as various expressions in minyo are directly related to diverse experiences and feelings in everyday life.

Minyo has undergone many changes throughout Korean history. Some of the minyo were transformed into more sophisticated music or literary styles and even became the origin of new creative poems in the process. It shows that this old and vast genre we now collectively call minyo includes various songs with colorful content, functions, and forms.

Q. How can we categorize minyo?
A. Minyo could be categorized by its function. Whether the songs serve a specific purpose or not, minyo are divided into songs with a function and songs without. The former is grouped into nodongyo(work songs), uisikyo(ceremonial songs), and yuhuiyo(entertainment songs). Nodongyo includes ‘Monaegi sori(rice transplantation song)’ and ‘Gilssam norae(weaving song)’, songs that are related to planting rice, plowing the fields, and weaving fabrics. Uisikyo is mostly related to significant life events like a funeral or traditional seasonal customs: ‘Sangyeo sori(death carriage song)’ and ‘Jisin balbgi norae(tread on the god of the earth)’ fall into this category. Yuhuiyo, songs for leisure, include ‘Ganggangsullae(circle dance with accompanying songs wishing for a bountiful harvest’ and ‘Notdari balbgi(a kind of dance-drama portraying a moment in Korean history)’. People sang songs without a function anytime and anywhere when they are excited regardless of particular tasks. ‘Arirang’ and ‘Doraji Taryeong’ are the most popular songs among them. Of the songs with a function, nodongyo is the most important of all. When people sing and work together, they can unify their movements with the beat, or they can forget their hardships with excitement. As singing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traditional labors, nodongyo has been inherited in each region as people worked with songs in all kinds of labors. As ‘Monaegi sori’ below, the exchange of sounds in the way that when one person sings first, other people sing the chorus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nodongyo. 

Let’s plant rice seedlings, let’s plant rice seedlings,
let’s plant again where we planted last year
Eoha eoha eohadwiya, let’s get three full sacks of rice 
from a patch again this year
Sow seeds in spring and earth up in summer
Eoha eoha eohadwiya, let’s get three full sacks 
of rice from a patch again this year
Harvest in autumn and fill our bellies in winter
Eoha eoha eohadwiya, let’s get three full sacks 
of rice from a patch again this year
‘Monaegi sori’, Namwon City of Jeolla-do Province

Q. Is there a special way to appreciate minyo?
A. Just as the lyrics of minyo convey vivid dialects and lifestyles in different regions, the rhythms of minyo also differ slightly from region to region. Knowing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minyo would make it easier and more enjoyable. 

First of all, Gyeonggi minyo refers to folk songs handed down in Gyeonggi-do and even some parts of Chungcheong-do. It has a light, cheerful and soft features from their pyeongjo style of five-note scale and rhythms of semachi(three-beat) or gutgeori(four-beat). In contrast, Namdo minyo from Jeolla-do delivers a deep and solemn sound. They usually press down or twist the sound using a thick voice and use the gyemyeonjo scale.

Meanwhile, Seodo minyo of Hwanghae-do and Pyeongan-do is known for its high clear nasal tones and delicate vibrato conveying an intense feeling of lament and sorrow as if crying. 

The same sentiment also can be seen in minyo of Gangwon-do that has mournful and chant-like tunes(menarijo). Gyeongsang-do minyo was also influenced by Gangwon-do minyo as they are neighboring each other. Still, Gyeongsang-do minyo also has its unique characteristic using fast and powerful rhythms. 

I hope you can enjoy each region's characteristics and people's lives reflected in the songs while listening to minyo.

Written by Lee Chae Eun reads and writes to study 'classical literature,' which changes the 'present' life - currently studying the literature and arts of late Joseon, focusing on Pansori novels.
Translated by Han Song Hee


사이트 지도

사이트 지도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