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소개
고전적이면서 미래적인 드높은 격조 속,
날카로운 감각이 번뜩이는 '미래의 무용극'
‘대중이 보고 즐길 수 있는 춤’을 목표로 무용극의 기틀을 정립한 국립무용단 초대 단장 송범의 <왕자 호동(1974)>은 ‘한국적 무용극’의 시대를 연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그 후 ‘호동’은 <그 하늘 그 북소리(1990-1991)>로 관객을 다시 만나며, 장르로서의 무용극이 한국무용의 큰 뿌리로 자리 잡는 데 기여했다고 평가받는다.
창단 60주년을 맞이한 국립무용단은 무용극의 현대적 재정립을 통해 정체성을 확인하고 이를 미래의 전통으로 확장하고자 <2022 무용극 호동>을 선보인다. 손인영 예술감독을 필두로 한국을 대표하는 연출가 이지나가 대본과 연출을 맡고, 국립무용단 정소연·송지영·송설이 감각적이면서도 고전의 기품을 지키는 안무를 선보인다. 깊이 있는 음악세계로 정평난 음악감독 이셋(김성수), 세련된 미장센을 완성할 디자이너 민천홍·박은혜 등 정상의 창작진도 함께한다. 고전적이면서 미래적인, 전통적이면서 감각적인 무용극 <2022 무용극 호동>, 10월 해오름극장에서 관객을 만난다.
시대를 초월한 신고전의 등장,
연출가 이지나의 손 끝에서
가장 현대적인 무용극을 위해 한국을 대표하는 연출가 이지나와 전통과 현대를 넘나들며 경계 없는 창작의 길을 걸어온 국립무용단이 만났다. 총 8장으로 구성된 '2022 무용극 호동'은 한 장 한 장 그림책을 넘기며 읽듯 뚜렷하고 선명한 메시지를 전한다. 특정한 시대, 특정한 인물, 국경을 마주한 나라 간의 다툼이 아닌 '나'와 '우리'의 대림을 통해 시대를 걷는 누구나 공감할 이야기가 탄생한다. 어떤 시대에 감상해도 좋을, 新고전의 등장이다.
춤이 지닌 아름다움이란 이런 것,
역동적인 신명과 한없이 섬세한 몸짓의 조화
춤의 정통성은 뛰어난 내공을 인정받은 국립무용단 정소연·송지영·송설이 공동 안무로 담보한다. 50여 명 전 단원이 등장하는 웅장한 군무와 마음을 움직이는 부드러운 몸짓의 어우러짐은 관객의 영혼을 오롯이 사로잡을 것이다. 누구나 호동일 수 있음을, 그리고 누구라도 분연히 일어날 수 있음을, 더없이 아름다고 숭고한 춤사위로 설득할 '2022 무용극 호동' 춤이 지닌 원초적인 힘과 선연한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시간이다.
출연 및 제작진 소개
원작 송범 예술감독 손인영
대본·연출 이지나안무 정소연·송지영·송설
작곡·음악감독 이셋(김성수)
무대디자인 박은혜
조명디자인 원재성
의상·장신구디자인 민천홍
소품디자인 정복모 음향디자인 지영
영상디자인 윤민철
분장디자인 박효정
조안무 황태인·박소영
조연출 송현정·김재이
무대디자인보 신나경
홍보사진 황필주
출연 국립무용단·지현준(배우)
할인안내
좌석배치도
공지사항
관람 연령 및 예매 티켓 수령 안내
1) 본 공연은 8세 이상 관람 가능하며, 관람 연령 확인을 위해 생년월일이 기재된 증빙서류를 요청할 수 있으니 반드시 지참하시기 바랍니다. (2015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
관람 연령 미숙지로 인해 공연 당일 관람이 불가하거나 관람을 포기한 경우 예매 취소, 환불, 변경은 일체 불가합니다.
2) 예매 티켓 수령 및 현장 구매는 공연 시작 1시간 전부터 가능하며, 공연 시작 전 매표소가 혼잡하오니 되도록 공연 시작 30분 전까지 입장권을 수령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3) 공연 당일 매표소에서 예약자명의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혹은 티켓예매문자(예약번호)로 티켓 수령이 가능하며, 할인을 받으신 경우 관련된 증빙자료를 반드시 제시하셔야 합니다. (할인 증빙 미 지참 시 우대 할인 받은 만큼의 차액 지불)
발권된 티켓은 분실 시 재발권이 불가하오니 보관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공연 관람 안내
1) 공연 시작 후 지정된 시간 외에는 입장이 제한되며, 입장 허용 시 다른 관객의 관람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안내원의 안내에 따라 본인 좌석이 아닌 다른 좌석으로 안내받으실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환불은 불가합니다.
2) 사전에 협의되지 않은 사진촬영, 영상녹화, 음원녹취는 절대 불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