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관현악의 ‘찐’매력으로 소년소녀의 취향저격
국악과 가요를 접목한 ‘조선팝’ 열풍으로 국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요즘 ‘국악 입문 맛집’ 국립국악관현악단이 준비한 신개념 청소년 음악회이다.
지식을 전달하려하는 교육적 음악회를 지양하고 콘서트 본연의 가치인 보는 재미와 듣는 즐거움에 집중했다. 60인조 국악오케스트라와 스펙터클한 영상·조명이 어우러져 대중음악 콘서트를 방불케 한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게임의 배경음악과 인기 아이돌의 음악을 국악관현악으로 편곡해 선보이는 연주가 이색적이다. 부모님과 선생님의 잔소리, 미래에 대한 꿈과 고민 등 성장기에 느끼는 크고 작은 삶의 애환과 관심사를 음악으로 유쾌하게 풀어낸 창작곡도 흥미롭다.
“신조어 가득한 통통 튀는 가사와 국악관현악의 신나는 만남, 객석에서는 키득거리는 웃음 가득! 그야말로 소년소녀들의 눈높이에 딱 맞았다.” 서울신문
| 지휘 이승훤 |
감정의 강 | 작곡 최지혜 |
국악맛 쿠킹덤 모바일게임 '쿠키런: 킹덤' BGM, OST | 편곡 장석진 |
전지적 어른 시점 어른들의 이야기 '잔소리' | 작곡 노선락 |
전국설움자랑 우리들의 이야기 '설움타령' | 작사 · 작곡 · 협연 아마씨_백소망, 심소라 편곡 이고운 |
빛과 어둠 사이 국악관현악 '이슬의 시간' | 작곡 황호준 |
별 하나, 우주 하나 방탄소년단(BTS) '소우주' | 편곡 강택구 |
불후의 명곡 국악관현악 '신뱃놀이' | 작곡 원일 |
※ 프로그램은 주최 측의 사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예술감독┃김성진 | |
지휘┃이승훤 | |
연출┃천재현 서울대학교 국악과를 졸업하고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예술경영을 공부했다. 2000년 창단한 사단법인 정가악회의 대표이사다. ‘국악의 밭을 일구는 건강한 농부’를 비전으로 전통의 자생과 건강한 생태계 구축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인정받아 2009 KBS국악대상, 2010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표창, 2018 대한민국문화예술상 대통령 표창 등을 수상했다. 서울남산골한옥마을·서울남산국악당의 예술감독을 역임했고, ‘평롱 : 그 평안한 떨림’ ‘아리랑, 삶의 노래’ ‘정가악회 노닐다’ ‘악단광칠 콘서트’ 등 다수 공연의 제작 및 연출을 맡았다. | |
소리 협연┃아마씨(AMA-C) 백소망, 심소라 2017년 결성한 창작국악그룹으로 ‘아마씨’는 전통의 풍요로운 땅에 내려앉은 음악의 씨앗이라는 의미로 세상과 사람에 대한 다양한 시선을 담아내며,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의 이야기를 전통음악으로 풀어내고 있다. 2018년 정동극장 ‘청춘만발’ 우수 아티스트, 2020년 ‘수림뉴웨이브 2020’이 주목한 아티스트 6팀 등에 선정된 바 있다. 정규 1집 ‘AMA-C’를 비롯하여, 미니 앨범 ‘시린詩, 노래 셋’, 디지털 싱글 ‘마카롱’ 등을 발매했다. | |
조명 디자인┃송영견 건축공학을 전공한 후 무대제작으로 공연계에 입문했다. LG아트센터 조명감독으로 근무한 바 있으며, 현재 국악, 무용, 연극, 오페라, 전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조명 디자이너로 활동하고 있다. 국립국악관현악단과는 2018년부터 어린이 음악회 ‘엔통이의 동요나라’ 시리즈로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2013년부터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무대미술과 예술사 조명디자인 수업을 이어나가며 후학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 |
영상 디자인┃김혜민 서울예술대학 디지털아트과를 졸업하고 2014년 연극 ‘프랑켄슈타인’을 시작으로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 ‘광주’ ‘여명의 눈동자’ ‘미오 프라텔로’, 연극 ‘더 라스트 맨’ ‘살티 장대벌’ ‘트레인스포팅’, 음악극 ‘불세출 10주년 콘서트-막무가내’ ‘카산드라’ 등의 영상 디자인을 맡았다. 현재 73 Company design 소속으로, 트라이보울 재즈페스티벌 미디어 파사드 작업과 국립창극단 ‘귀토’의 영상 디자인을 맡는 등 작업의 반경을 넓혀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