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빠른예매 바로가기 사이트 지도 바로가기
월간미르 상세

2020년 10월호 Vol.369

궁중무용이 궁금해요

전통예술 사전

국립무용단 ‘코리아환타지 Ⅲ 밀레니엄 로드’ 

National Dance Company of Korea, Korea Fantasy Ⅲ millennium Road

엄숙한 분위기 속에서 절제를 유지한 춤의 세계로

Q 궁중무용이란 무엇인가요. 
A 궁중무용은 삼국시대 이후 왕권 정치가 확립됨에 따라 그에 맞춰 정해진 왕실의 의식으로 시작됐습니다. 민중이 즐기던 민속무용과 대비되는 춤이라고 할 수 있죠. ‘춤을 비롯한 모든 재능과 기예’라는 의미로 ‘정재呈才’라고도 하며 궁중의 향연이나 연회, 국가 행사 때 주로 행해졌습니다. 궁중무용은 크게 세 가지 형태, 즉 일무·당악 정재·향악 정재로 나뉩니다. 먼저 아악雅樂에서 유래된 일무佾舞는 문묘와 종묘 제사에서 추는 춤으로, 행과 열을 맞춰 추는 형식의 무용입니다. 당악 정재는 고려 문종 때 송나라에서 전래된 춤을 의미합니다. 죽간자竹竿子(정재 때 사용하는 춤 도구)의 인도로 춤이 시작되며 시작과 끝에 한문 가사로 된 창사를 부릅니다. 향악 정재를 발전시키는 촉매제가 되기도 한 이 무용은 조선 시대에도 향악 정재와 더불어 궁중무용의 쌍벽을 이뤘습니다. 향악 정재는 우리나라 고유의 음악인 향악에 맞춰 추는 창작 춤으로 조선 세종 이후 체계화됐습니다. 한문이 아닌 국문으로 된 창사를 부르며 무원들은 죽간자의 인도 없이 무대에 올라 춤을 시작합니다. 

Q 궁중무용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A 궁중무용은 신라 시대에 들어온 공자의 예악 사상을 바탕으로 시작됐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유학이 정치 이념으로 자리 잡게 되면서 궁중무용은 유교의 정치관을 바탕으로 발달하게 됐습니다. 왕실의 존엄과 위엄을 찬양하는 내용으로 구성됐으며, 엄격한 형식 안에서 절도와 질서를 중시하는 장엄한 춤사위로 이뤄졌습니다. 대부분 동양적 색채를 띠는 화려한 복장과 의물(도구)을 사용하며 무용수 개인의 개성이나 감정의 표현은 억제됐지요. 담담한 장단의 흐름에 우아한 춤가락을 지녀 신비스러운 멋을 풍기며 온화하면서도 장엄한 특징을 지닙니다. 정중동의 미, 즉 ‘고요한 가운데 있는 움직임’을 추구하는 궁중무용은 절제된 동작의 미를 중요시합니다. 공연이 이뤄지는 동안 유지되는 엄숙한 분위기가 평안과 고요를 느끼게 합니다. 국가기관에 예속된 궁중무용은 오랜 역사 안에서 성장하고 발전해 왔습니다. 의식의 일부로 시작됐으나 점차 독립해 예술적인 춤으로 정착돼 현재 전해지고 있습니다. 

Q 오늘날까지 잘 전승돼 오는 궁중무용을 알려주세요.
A 대표적인 궁중무용으로는 ‘춘앵무’와 ‘처용무’가 있습니다. 궁중무용 중 유일한 독무 작품인 ‘춘앵무’는 순조 때 효명세자가 순원왕후의 40세를 경축하기 위해 만든 춤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어느 봄날 버들가지에 앉아 지저귀는 꾀꼬리 소리를 들은 후 이를 상징화해 무용으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춘앵무’는 꾀꼬리를 상징하는 노란 앵삼을 입고 7색 한삼을 손목에 꼈으며, 오색으로 장식된 큰 화관을 머리에 얹은 채 화문석 위에서만 추는 우아하고 단정한 향악 정재입니다. 율동미보다는 전통적인 윤리관을 선으로 표현하는 멋을 지닌 춤으로 장엄하고 일률적인 장단과 함께 감상하면 깊고 오묘한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답니다. 1971년 국가무형문화재 제39호로 지정된 ‘처용무’는 2009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됐습니다. 이 춤은 통일신라 시대 처용 설화를 기반으로 창작됐습니다. 어느 날 처용은 사람으로 변한 역신이 그의 아내와 동침한 것을 발견했으나 노하지 않고 물러나 춤을 추고 노래를 불렀는데, 이 모습을 본 역신이 감동해 처용 형상의 그림만 봐도 그 문에 들어가지 않으리라 다짐했다는 내용의 설화입니다. 고려와 조선 시대의 궁중 나례와 연례에 처용 가면을 쓰고 추던 일종의 무극인 처용무는 오늘날까지 전해지는 궁중무용 가운데 역사적 시원이 가장 오래된 춤에 속합니다. 처음에는 1인무였으나 이후 5­인무로 확대돼 5방 처용무로 발전한 이 춤은 청·적·황·백·흑이 모두 자기가 위치한 방위를 지키며 잡귀의 침투를 감시하는 구도를 지닙니다. 남성 무용수들로만 구성돼 추는 처용무는 호방한 성격의 동작들로 이뤄져 있어서 관객에게 절제된 표현 양식으로부터 나오는 힘과 감정을 전달합니다. 

임수진 댄스앤미디어연구소 이사. 무용 월간지 ‘몸’의 편집장을 지냈다
번역 한송희

국립무용단 ‘봄의 여신’ 

National Dance Company of Korea, Goddess of spring

I'd like to know about Korean Court Dance

The world of dance, where create the solemn ambiance

Q. What is Korean court dance? 
A Korean court dance began as a royal ritual after the Three Kingdoms Period when the royal ritual was established under the firmly settled despotic monarchy. It is the dance contrasts with the folk dance of the commoners.  Korean court dance is also called ‘jeongjae,’  meaning ‘all the talents and techniques, including dance.’ It was performed mainly during court feasts, banquets, and national events. The court dance is divided into three main categories; ilmu, dangak jeongjae, and hyangak jeongjae. First of all, ilmu are line dances originated from aak, which was performed at Munmyo and Jongmyo rites. Dangak jeongjae was introduced from the Song Dynasty during the reign of King Munjong of the Goryeo Dynasty. The dance begins with the lead of jukganja (a dance tool used during jeongjae) and sings changsa with Chinese lyrics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Dangak jeongjae became a catalyst for the development of hyangak jeongjae, and it also stood as the twin stars of royal dance with hyangak jeongjae during the Joseon Dynasty. Hyangak jeongjae was organized after the reign of King Sejong of the Joseon Dynasty, created as a dance for the traditional Korean music, hyangak. The dancers go on stage and dance without the guidance of jukganja, while singing changsa with Korean lyrics.

Q.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ourt dance?
A Korean court dance was based on Confucius’s ideas from the Silla Dynasty. As Confucianism became a political ideology in Korea, Korean court dance was developed based on the Confucian political views. It mainly is to praise the majesty and dignity of the royal family, with solemn dances valuing discipline and order in strict forms. It suppressed the dancers’ personalities or emotional expressions and used colorful costumes and tools with oriental colors. It has the elegant choreography with a calm rhythmic flow, which presents mystical style with gentle yet majestic quality. The court dance values the beauty of restrained movements as it pursues the beauty of ‘jeongjungdong,’ meaning ‘the movement in the middle of silence.’ During the performance, it maintains a solemn ambiance to create a feeling of peace and quiet. The court dance has been subjugated by state institutions and has grown and developed in a long history. It started as part of the ritual, but gradually became independent and settled down as an artistic dance, which is still handed down.

Q. Tell me about the Korean court dance that has been passed down to this day.
A ‘Chunaengmu’ and ‘Cheoyongmu’ are the representative repertories of Korean court dance. First, ‘Chunaengmu’ is the only solo dance piece of the court dance. It is known to be a dance made by Crown Prince Hyomyeong to celebrate the 40th anniversary of Queen Sunwon during the reign of King Sunjo. One spring day, the inspiration came to him as he listened to a nightingale chirping on a willow branch. He then created the elegant and neat piece of hyangak jeongjae, symbolizing it. ‘Chunaengmu’ is danced by a female dancer, who only dances on a flower mattress. She wears a bright yellow dress, symbolizing a nightingale with sleeves of multi-colored stripes, and a flower crown adorning her head. With graceful and gentle movements accompanied by a magnificent and monotonous rhythm, the dance focuses on promoting traditional ethics as the good, presenting the deep and exquisite beauty. ‘Cheoyongmu,’ designated a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39 in 1971, was registered as one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by UNESCO in 2009. The dance was created based on the story of Cheoyong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finding his wife in bed with the spirit of smallpox disguised as a man one day. Cheoyong then stepped back without being angry and danced and sang a song. The spirit was deeply touched by Cheoyong, and decided not to enter any doors if it has a picture of Cheoyong. Cheoyongmu is a dance-drama that was performed at the royal court for the narye (exorcism rite) and yeonrye (national banquets) during the Goryeo and Joseon Periods. It is also the oldest royal dance that has ever been handed down. It began as a one-person dance initially, but later expanded to a five-person dance, then developed into a five-direction dance. Five colors include blue, red, yellow, white, and black, imply the five directions. The performance of Cheoyongmu only includes male dancers, and they are to guard the designated locations to monitor the penetration of evil spirits. The dance presents the lavish masculine movements that convey the power and emotion coming from the restrained expressions to the audience. 

Written by Sujin Yim Director of Dance & Media Research Institute. Former chief editor of Dance Magazine MOMM
Translated by Songhee Han 


사이트 지도

사이트 지도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