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빠른예매 바로가기 사이트 지도 바로가기
월간미르 상세

2020년 07월호 Vol.366

걷고 또 걷고

깊이보기 둘 | 나와 일로一路




스승과 제자가 정가正歌란 산의 정상을 향해 올라간다. 현대적 선율이 흐르는 행보를 따라가자

국악 공연에서 스승과 제자가 한 무대에 서는 것은 딱히 낯선 일이 아니다. 대개 스승의 무대에 제자가 소개되거나, 제자가 존경의 의미를 담아 스승을 무대에 초청하는 식이다. 강권순과 신노이의 김보라가 무대에 오르는 ‘나와 일로一路’ 역시 얼핏 보면 스승과 제자의 만남으로 비칠 수 있다. 김보라는 이춘희에게 민요를, 강권순에게 정가를 사사했는데 자신의 음악가로서의 위치를 ‘포스트 강권순’이라 표현할 만큼 서로 간 끈끈한 관계를 보이기 때문이다. 다만, 이번 공연을 밀어주고 끌어주기만 하는, 훈훈하지만 밋밋한 무대로 상상한다면 큰 오산이다. ‘나와 일로一路’의 관전 포인트는 강권순과 김보라가 지금 정가판에서 활발하게 음악적으로 실험하고 도전하는 예술가로서 뜨겁게 맞붙는 무대가 된다는 것이다.
강권순은 일찍부터 정가의 미학을 현대적으로 제시하는 데 앞장섰고, 최근에는 베이시스트 송홍섭의 앙상블과 협업하며 대중에게 한발 더 다가갔다. 가곡은 송홍섭의 노래 해체와 편곡 작업을 통해 서양악기에 맞게 재구성되고 새로운 어법으로 정교해진다. 이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은 국악이란 낯선 어법을 대하는 서양음악 연주자뿐만이 아니다. 가곡에서는 노래가 시작되는 순간 가객이 주도권을 쥐는데, 악사들은 온 정신을 가객의 호흡에 집중하며 그의 숨이 늘어질 때 함께 늘어지고, 숨이 가빠질 때 그에 맞춰 손가락을 놀려야 한다. 그러다 4장에서 비로소 가객은 악사들에게 놀 자리를 잠깐 내준다. 이때를 놓치지 않고 화려하게 분출되는 거문고와 가야금의 선율과 이를 받치는 가객과 관악 주자의 지속음이 바로 가곡의 백미다. 그런데 강권순은 송홍섭과의 협업을 위해 가객의 주도권을 기꺼이 포기했다. 앙상블과의 약속된 호흡에 숨을 맞추고 평균율에 얹히게 된 음 간의 이질성을 존중하며 악사에게 표현할 수 있는 자리를 내줬다. 가곡은 두 사람의 협업으로 새로운 형식으로 제시되며 조화를 선보인다. 
반면, 김보라가 속한 신노이는 형식 자체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길을 택했다. 이름부터 신노이, 즉 시나위라고 지은 이 팀은 각자가 가진 음악 기술을 재료 삼고 역량을 무기 삼아 함께 장르와 형식을 배반한다. 김보라의 소리는 전통 성악의 민속성과 형식성을 내포하지만 새로 창작된 노래의 질감은 시간과 지역에서 탈출해 ‘김보라의 목소리’란 인상만 남긴다. 시나위의 ‘틀 안의 즉흥’이란 형식이 재즈와 일맥상통한다고 할 때, 베이시스트 이원술은 그 속성을 이해해 일부로서 파고 들어간다. 김보라의 목소리와 이원술의 콘트라베이스에 현대성을 부여하는 것은 일렉트로닉 뮤지션 하임이 배열하는 전자음악이다. 그가 빚어낸 소리는 청력의 공간감을 활용해 다양한 소리의 질감과 입체성을 강조하며 감상의 즐거움을 더한다. 합의된 틀 속에서 명확한 역할을 가지고 각자의 기량에 충실함으로써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았던 심상을 끌어내는 신노이. 국악도 아니고, 재즈도 아니고, 전자음악도 아니며, 그렇다고 퓨전이나 크로스오버라고 할 수도 없는, 기존의 것들로부터 탈피한 신노이의 길은 강권순과 송홍섭 앙상블의 도전과는 또 다른 것이다. 
그리하여 강권순과 송홍섭 앙상블 그리고 신노이의 공연은 각 세대 정가판을 대표하는 두 가객이 새로운 협력자들을 만나 과거를 극복하고 함께 시도하며 각자 ‘하나의 길一路’을 개척하는 동반자로서의 만남이다. 

이수정 DMZ 피스 트레인 뮤직 페스티벌과 잔다리페스타에서 기획자로 일하고 있다. 밴드 씽씽, 공연예술단체 박박의 국내외 매니지먼트를 담당했다

강권순X송홍섭 앙상블X신노이
나와 일로一路
7월 17일  |  국립극장 달오름극장


사이트 지도

사이트 지도 닫기